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풍한을 없애고 눈을 밝게하며 설사를 멎게 하는 삽주뿌리 창출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6. 29. 04:00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창출입니다.

 

창출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인 삽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진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다음 수염뿌리를 잘라내는데, 약재는 질이 단단하고 단면에 주사점(朱砂點)이 많고 향기가 진한 것이 좋다고 합니다.

 

소개하는 약재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고 난 후 포제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그러면 약재에 대한 특징과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위장을 보호하는 전통소화제, 신선이 즐기던 삽주(백출) 약초이야기

오리엔털 허브스토리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겨있는 동양의 신비로운 약초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오랜 옛날 조상들은 식물, 동물, 광물 등을 이용하여

kyk0001.tistory.com

 

 

 

<약재(약초) 포제방법>

 

출처 : (블로그)흰구름

 

<창출>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물에 담가 물기를 흡수시키고 두텁게 절편하여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부초창출>

ⓛ 밀기울을 뜨거운 솥 안에 넣고 중간 정도의 불로 가열하여 연기가 날 즈음에 창출절편을 넣고 표면이 지은 황색을 띨 때까지 볶아서 꺼내어 체로 탄 밀기울을 제거하고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초창출>

ⓛ 창출절편을 솥 안에 넣고 갈색을 띨 때까지 볶은 다음 약간의 물을 뿌리고 약한 불로 볶아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창출>

① 불규칙한 두터운 절편으로 가장자리는 울퉁불퉁하고 표면은 황백색 혹은 회백색을 띠며 등황색 혹은 홍갈색의 유관속과 흰털모양의 결정이 많이 흩어져 있고 가장자리는 회갈색을 띠며, 질은 견실하고 향기는 독특하며 맛은 약간 달고 매우며 쓰다.

② 생품은 맵고 마른 성질이 강하고 풍을 없애며 땀을 내게 하는 힘이 뛰어나서 습을 말리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풍한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부초창출>

① 형태는 창출절편과 같고 표면은 황색 혹은 그을린 황색을 띠며 구수한 냄새가 난다.

② 부초하면 맵고 따뜻하며 쓰고 마른 성질이 완화되어 비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강화시키므로 내복하면 복부창만을 치료한다.

 

<초창출>

① 형태는 창출절편과 같고 표먄은 갈색을 띠며 구수한 냄새가 난다.

② 초초한 후에는 습사를 없애 비장을 따뜻하게 하여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에 치우친다.

 

<약재(약초) 활용>

 

약재(약초) 특징과 효능, 포제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 소개한 약재(약초)는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두면 좋을 듯 하여 전에 포스팅한 내용도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https://kyk0001.tistory.com/84

 

신경통과 소화불량에 좋은 창출엿 민간요법

음식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④이류 제습, 발한, 건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제습(除濕)이라는 것은 몸의 습한 기운을 없애는 것을 말하고, 발한(發汗)은 피부의 땀샘에

kyk0001.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