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지유입니다.
지유는 장미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인 오이풀 또는 장엽지유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봄펄 발아전이나 또는 가을철 경엽이 시든 다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건조하거나 혹은 신선할 때 두텁게 절편하여 말리는데, 약재는 굵고 질이 단단하며 홍색을 띠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소개하는 약재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고 난 후 포제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그러면 약재에 대한 특징과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약재(약초) 포제방법>
<지유>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물에 약간 담가서 물기가 스며들게 하고 두텁게 절편하여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지유탄>
ⓛ 지유 절편을 뜨거운 솥에 넣고 강한 불로 표면이 그을린 흑색이 되며 내부는 종갈색이 될 때까지 볶고 맑은 물 한모금을 뿌려서 불이 꺼질 때 즈음에 꺼내어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지유>
① 원불규칙한 원형의 두터운 절편으로 표면이 자홍색 혹은 종갈색을 띠고 고리 모양의 작은 백색 점으로 배열되어 있거나 간혹 황백색의 도관무늬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어두운 자홍색 혹은 회갈색을 띠고 거친 세로 주름무늬가 있고 질은 단단하며 향기가 약간 나고 맛은 쓰면서 떫다.
② 생품은 침강하는 성질이 있어 하초를 향하므로 임상에서 사용 할 때 주로 하초에 혈열이 있거나 혈열이 쌓여 뭉침으로 인한 변혈, 뇨혈, 치창출혈(치질에 의한 출혈), 혈리 및 부녀붕루 증상, 임신상태로 인한 하혈, 복통 증상에 활용하며, 또한 뜨거운 물이나 불에 덴 상처 및 혈열로 열독이 왕성하여 나타난 옹저종독(종기) 증상에 또는 피부습진에 많이 활용한다.
<지유탄>
① 형태는 지유 절편과 같고 표면은 그을린 흑색을 띠며 내부는 종갈색을 띤다.
② 초탄 후에는 혈을 말게 하고 열을 없앰는 힘이 감소되고 수삽력이 크게 증강되므로 오로지 지혈,수렴, 이질 솔사를 멎게 할 목적으로 사용할 때 특히 지혈의 목적으로 많이 활용한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한을 없애고 눈을 밝게하며 설사를 멎게 하는 삽주뿌리 창출 약재 포제법 (0) | 2023.06.29 |
---|---|
지혈작용이 탁월하고 불면증과 현기증, 이명과 난청 증상에도 좋은 지황 약재 포제법 (0) | 2023.06.28 |
몸안의 열기로 갈증과 마른 기침이 나고 변비증상에 좋은 지모 약재 포제법 (0) | 2023.06.26 |
기침과 가래가 많거나 감기 초기에 좋은 바디나물 뿌리 전호 약재 포제법 (0) | 2023.06.25 |
생리불순과 가슴 옆구리 통증, 피부반점과 종양을 다스리는 적작약 약재 포제법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