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초 효능과 민간요법

습기로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통증과 어혈을 다스리는 이삭역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사랑꾼 2021. 9. 18. 17:35
728x90
반응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이삭역귀>

풍습, 신장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풍습이란 풍사(風邪)와 습사(濕邪)가 겹친 것 또는 이로 인하여 생긴 병증을 말하는데 뼈마디가 쑤시고 켕기며 굽혔다 폈다 하기가 어려운 증상을 말하고,

신장병이란 신장(腎臟)의 기능 이상으로 온 제반의 질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이삭역귀입니다.

 


 

* 과명 : 마디풀과

* 학명 : Persicaria filiformis NAKAI.

* 약명 : 금선초(金線草)

* 이명 : 적료, 모료, 금선초, 이삭여뀌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이삭역귀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풀 전체에 거친 털이 있고 잎에는 검은색 반점이 있다고 하구요.

 

그리고 습도가 높은 음지 또는 반음지를 좋아하여 산골짜기의 냇가 부근의 습지나 숲 가장자리, 들에서 흔히 나는 풀이라고 하네요.

 

이삭역귀로 담근술을 만들어 먹거나 육류와 같이 볶아 먹어도 좋다고 하며, 육류의 누린내와 생선 비린내를 잡아준다고 합니다.

 

 

이삭역귀 꽃말은 신중, 숙원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삭역귀 이름에 대한 유래를 살펴볼까요?

 

첫번째로는

역귀(逆鬼)는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하며, 하나의 꽃다래에 작은 열매가 줄줄이 매달려 엮어져 있는 모양에서 "여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네요.

그리고 여뀌를 집 주변에 심어놓으면 그 여뀌 알맹이를 세느라 도깨비가 집에 못들어오게 도깨비를 '엮는다고', '엮이게 한다'고 하여 "여뀌"라고 불린다고도 합니다.

 

역귀 중 꽃이 가장 예쁘다고 하는 역귀가 '이삭역귀'라고 하구요.

이삭역귀라는 이름은 꽃대에 작은 꽃이 이삭같이 줄줄이 달려 있는 모습에서 '이삭역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두번째로는

줄기의 껍질이 홍자색이 돌며 염료 원료의 재료로서 '적료'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다고 합니다.

 

 

 

 

 

 

 

이삭역귀의 효능으로는

 

습기로 인하여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병인 풍습을 없애주고 멍든 피를 풀어주며 진통, 지혈,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풍습으로 인한 통증, 요통, 관절통, 타박상, 위통, 월경통, 산후 복통, 각혈, 코피, 혈변, 류머티즘에 의한 골통, 해혈, 토혈, 혈붕, 피부염 등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1

식용, 밀원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꽃과 풀 전체를 신장병 등에 약으로 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2

민간요법에는 이삭역귀의 줄기를 그늘에 말려 잘게 썰은 다음 한 줌(약 열두 돈)을 물 2~3홉에 넣고 달인다.

차를 끓이는 농도와 같이 되면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차처럼 복용하며 이를 계속해서 오랫동안 복용하면 더욱 좋다고 한다.

끓인 즙이 하루를 넘길 경우에는 다시 새것을 끓여 복용한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