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이되는 한방차

몸의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항염증 작용을 하는 인동덩굴차

자연사랑꾼 2023. 4. 22. 04:00
728x90
반응형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몸에 좋은 한방차>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한방차 모음>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준비와 만드는 방법 그리고 한방차 효능에 대해서도 소개를 하고자 하니 한방차 한 잔으로 건강한 생활을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차는 인동덩굴차입니다.

 

출처 : (블로그)카이사르

 

인동 덩굴은 산기슭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낙엽 활엽의 덩굴성 식물로서 꽃, 줄기, 잎 등 모두를 차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며, 인동 덩굴이라는 이름은 겨울 동안 잎이 지지 않고 견디었다 하여 중국에서 인동초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우리나라에서 인동 덩굴로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낙엽이 지고 줄기만 남아 있는 것이 보통이며, 인동 덩굴의 꽃을 금은화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민속이야기로는 귀신에 씌워 오한과 고열이 나고 정신을 빼앗겨 끝내는 죽게 된다는 병을 오시병이라 하는데, 이 인동 덩굴은 오시병을 고치는 명약이라 하여 통령초라도 부른다고 합니다.

 

 

<한방차 재료 준비>

 

① 금은화의 개화기인 5~6월에 꽃봉오리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② 잎과 줄기는 가을 내지 겨울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 말린다

 

③ 말린 재료는 한지 봉지 등에 넣어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차로 이용한다

 

④ 여름에 채취한 인동 덩굴의 꽃은 그대로 생 것을 이용할 수 있어 풍미를 돋울 수 있다

 

출처 : (블로그)안태용농원
출처 : (블로그)작은별마녀

 

 

<한방차 만드는 법>

 

 차의 분량은 물 600cc에 건조한 꽃 8-10g(생것은 10~15g)을 넣고 뭉근한 불로 달여 하루에 2-3잔으로 나누어 마신다

 

② 한방에서 일반적으로 인동 덩굴의 잎과 줄기를 말린 것을 인동이라 하는데, 이 인동을 이용할 때에는 10~15g을 넣고 끓여 역시 하루에 2-3잔으로 나누어 마신다

 

③ 맛내기를 할 때에는 벌꿀이나 흑설탕을 취향에 따라 가미하여 마신다

 

 

<한방차 효능>

 

 몸의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항염증 작용을 한다

 

② 이뇨작용과 억균작용을 하고 부스럼, 악창, 옴, 이질, 위암, 대장염, 위궤양, 열병 초기, 편도염, 결막염, 맹장염 등을 치료한다

 

③ 해열, 통경의 효능이 있고 온병발열, 열독혈리, 5전염성 간염, 옹종창독, 근골동통, 장염, 외감발열해수, 패혈증 등을 치료한다

 

④ 오래 묵은 기를 흩어지게 하고 땀을 나게하며, 소갈증을 치료한다

 

⑤ 금은화는 소염, 청혈, 이뇨, 살균 등의 작용이 있어 열이 있는데 땀이 없는 증상과 화농성(화농성)질환, 급만성임병, 매독, 적리, 농창, 옹저, 개선, 종독, 악창 및 인후종통 등을 치료한다

 

⑥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고, 몸이 붓는 것을 치료한다

 

⑦ 오래 복용하면 몸이 거뜬해지고 장수한다

 

⑧ 덩굴은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⑨ 감기 초기의 열로 인한 이질, 갈증과 옹저를 치료한다

 

⑩ 금은화는 옹저를 썩 잘 낫게하고 곪기 전에 삭게하며 곪은 것을 터뜨리게 한다

 

⑪ 민간에서는 혈변에 이용하고, 종기의 독을 죽이며, 해독제로도 이용하였다. 또 꽃으로 담근 술은 신장병에 좋다고 한다

 

⑫ 비위가 약한 사람과 체력감퇴로 인한 종창의 농즙이 극히 적은 자는 이용을 피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