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레시피/식용곤충 효능과 요리

고소애달걀말이, 고소애/꽃벵이일식모둠튀김, 고소애볶음우동

자연사랑꾼 2022. 8. 22. 04:51
728x90
반응형

일식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자연재해, 인구 증가와 환경 파괴로 인하여 식량위기가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면서 이러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곤충을 미래식량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곤충을 미래 식량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먹거리에서 식용곤충에 대한 효능과 어떤 요리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곤충을 일반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거부감이 있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는 곤충에 대한 애칭을 공모하여 친근감 있도록 하였는데요.

갈색거저리 애벌레를 <고소애>, 쌍별귀뚜라미를 <쌍별이>,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꽃벵이>, 장수풍뎅이를 <장수애>라고 부르고 있다고 하구요.

또한 일반인들이 쉽게 곤충에 대해 이해하고 요리할 수 있도록 곤충으로 만드는 양념장과 소스를 소개하고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등의 메뉴를 개발하여 가정에서도 손쉽게 만들어서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출처 : 식용곤충 메뉴개발 및 사육기술 표준화(농촌진흥청)

 

 

오늘 소개할 요리는 고소애달걀말이, 고소애/꽃벵이일식모둠튀김, 고소애볶음우동입니다.

 

고소애 달걀말이

 

고소애 달걀말이는 일식 스타일의 다시달걀말이로 우리나라나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도시락 메뉴라고 하구요.

일반적으로는 다시마로 육수를 내어 사용하나 여기에서는 고소애육수로 맛을 냈다고 합니다.

 

 

< 재료 >

 

ⓛ 달걀을 완전히 푼 다음 진간장과 차갑게 만든 육수를 넣고 잘 섞는다

 

② 직사각 팬에 기름을 고르게 살짝 두룬 후 달걀물을 적당히 부어 60~70% 익으면 고소애 다짐을 고르게 뿌린다

 

③ 달걀이 70~80% 익으면 팬을 기울여 젓가락으로 달걀을 말아준다

 

④ 말아 놓은 달걀말이를 팬의 위쪽으로 올려놓고 다시 달걀물을 더 부어 고르게 편 뒤 고소애 다짐을 고르게 뿌리고 역시 70~80% 익으면 달걀을 한 번 더 말아준다

 

⑤ 달걀말이가 약간 식으면 1㎝ 정도로 자른다

 

< 요리 Tip >

① 달걀말이가 뜨거울 때 김발로 말아서 모양을 잡고 한 김 식으면 썬다.

② 고소애 다짐 이외에 황·적 파프리카나 청양고추, 새우 등을 다져서 같이 넣거나 달걀물에 함께 섞어 말아도 좋다.

 

 

고소애/꽃벵이 일식모둠튀김
(튀김샐러드)

 

튀김은 고온에서 단시간 조리하여 영양소 손실이 가장 적은 조리법으로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도움이 되며, 식용곤충의 고소하고 바삭한 특성을 가장 잘 살려주는 조리법이라고 합니다.

 

 

< 재료 >

 

ⓛ 새우는 껍질을 벗긴 후 등 쪽의 내장과 꼬리의 물주머니를 제거한다. 배 쪽의 마디에 칼집을 2~3군데 넣고 새우의 등을 눌러 곧게 편다

 

② 단호박은 0.3㎝ 정도로 편 썰기 하고, 가지는 세로로 4등분한 뒤 소금을 살짝 뿌렸다가 물기를 제거한다

 

차가운 물에 달걀노른자를 섞은 후 고소애 분말, 박력분, 소금을 넣어 튀김옷을 만든다

 

손질한 새우, 단호박, 가지에는 밀가루(분량 외)를 먼저 고르게 묻힌 후 튀김옷을 입혀 170℃에서 튀긴다

 

고소애, 꽃벵이는 튀김 반죽에 넣어 한입 크기로 떠서 튀긴다

 

냄비에 분량의 튀김 소스(덴다시, 天汁,てんつゆ) 재료를 모두 넣고 한번 끓인 다음 따뜻하게 준비한다

 

튀김을 접시에 담고 튀김 소스를 곁들인다

 

< 요리 Tip >

① 다양한 제철 채소류, 버섯, 해물류 등을 튀김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② 튀김옷을 만들 때는 믹싱 볼에 차가운 물과 달걀을 먼저 넣어 섞은 뒤 밀가루를 넣고 가볍게 섞어야 튀김옷이 더 바삭하다.

③ 튀김 재료를 기름에 넣어 튀길 때 튀김 반죽을 손에 묻혀 튀김 재료가 있는 기름 위에 뿌리면 자연스럽게 튀김 재료 겉면에 반죽이 붙어 꽃이 핀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④ 일식 튀김에서는 튀김 소스 외에 무와 생강을 곱게 갈아서 동그랗게 모양을 내고, 송송 썬 실파와 함께 ‘양념[薬味]’을 만들어 튀김 소스와 섞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⑤ 다시는 물(3컵)에 다시마(1장, 10g)를 넣고 2~3분 끓이다가 다시마를 건지고 불을 끈 다음 가쓰오부시(10g)를 넣고 5분 정도 후 체에 걸러 사용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물(1ℓ)에 무(50g), 양파(30g), 대파(30g), 건표고 기둥(10g), 고소애(10g)를 넣고 약불에서 20~30분 끓인 후 체에 걸러 사용한다.

 

 

고소애 볶음우동

 

삶은 국수에 채소, 고기, 해물 등을 넣고 볶은 야키소바(燒蕎麥)라고 하는 볶음우동은 일본 요리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음식이라고 하구요.

최근에는 쌀국수를 이용한 동남아식 볶음면 요리도 많은 사람이 즐겨먹는다고 합니다.

 

 

< 재료 >

 

ⓛ 냄비에 물을 넉넉하게 넣고 물이 끓으면 우동 면을 넣어 약 1분간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다

 

② 오징어는 머리, 내장을 제거한 후 겉껍질을 벗기고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③ 숙주는 거두절미하여 씻어 물기를 빼놓고, 파프리카, 양파, 표고버섯은 0.2㎝ 정도로 채 썰고, 대파는 곱게 채 썰거나 어슷썰기한다

 

④ 달군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새우, 오징어를 볶다가 후추를 넣는다

 

⑤ 믹싱 볼에 간장과 돈가스소스, 청주를 넣고 잘 섞어서 소스를 만든다

 

⑥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고소애 다짐, 삶은 우동면을 함께 넣어 먼저 볶다가 ④의 해물과 ③의 채소, 숙주, ⑤의 소스를 넣어 잠시 더 볶는다

 

⑦ 완성된 볶음우동을 접시에 담고 위에 가쓰오부시를 얹는다

 

< 요리 Tip >

다양한 제철 채소나 해물을 사용할 수 있다.

② 볶음 소스로 돈가스소스 대신 굴소스를 사용해도 좋다.

③ 매콤하고 칼칼한 맛을 내려면 재료를 볶을 때 청양고추나 고춧가루를 넣거나 고추기름을 볶음 마지막에 넣는다.

 

 

 

요리에 들어간 곤충의 효능을 알아볼까요?

 

 

갈색거저리 애벌레인 고소애의 불포화 지방산은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좋으며, 한의학적으로 기침, 가래, 토혈의 치료와 중풍, 반신불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더농부

 

출처 : (블로그)그린에듀텍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mealworm beetle)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은 어두운 갈색이며 길이는 약 15mm의 곤충으로 갈색쌀거저리라고도 불린다고 하구요.

성충은 보통 곡류 속에 알을 낳는데 이 알은 1~2주 후 부화하고, 부화한 유충을 밀웜(mealworm)이라고 부르며, 유충은 9~20번의 탈피를 통해 번데기가 된 후 성충으로 우화(羽化)하며, 야행성이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하네요.

 

밀웜은 새, 고슴도치 등의 먹이로 대량 양식되고 있으며 청결하기 때문에 애완용 등으로도 사육된다고 하며, 또한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아 식품원료로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어 미래 식량자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2014년 7월 16일 갈색거저리 유충을 한시적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였으나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척, 살균, 동결건조 등의 가공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합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 건조분말의 영양성분은 단빽질이 45-57%, 지방이 25-34%, 탄수화물 8-11%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지방은 심혈관계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75%갱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불포화지방산중 하나인 올레인산이 100g당 13.55g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 무기질 중에 철과 인이 풍부하고 비타민은 B3와 B5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체안전성을 입증하기위한 연구도 거쳐 갈색거저려 애벌레가 인체에 위험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하고, 유해물질분석에서 병원성세균 등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동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혈청시험과 독성시험결과 모두 음성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영양만점식용곤충요리

 

꽃벵이는 체내 독소를 베출시켜 간 기능을 회복시키고 이뇨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고 하구요.

또한 혈액순환 개선 및 혈관질환을 예방하며 뛰어난 항암효과도 있다고 하네요.

동의보감에 의하면 꽃벵이는 간에서 발생되는 빌병인 간암, 간경화와 유방암, 백내장, 피로회복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약용곤충이라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임권일

 

 

꽃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로서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길이는 17~24mm정도이며, 몸빛깔은 광택 있는 구릿빛을 띠는 검정색이고 황백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고 하고, 머리방패의 앞쪽은 직선형이며, 둥근 점각이 밀집되어 있다고 합니다.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의 건조분말은 단백질이 58%, 지방이 18%, 탄수화물 17%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혈관계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77%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불포화지방산중 하나인 올레인산이 100g당 8~14g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구요.

이 밖에 구성아미노산 중 글루탐산과 프롤린이 많이 들어있고 무기질 중에는 인과 칼륨이 벼타민중에는 B3와 B9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안전성연구 결과 사람에게 전혀 위험이 없으며 병원성세균 등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하며, 동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혈청시험과 독성시험결과 모두 음성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영양만점식용곤충요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