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증상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머리 불청객 탈모 민간요법으로 탈출하자

자연사랑꾼 2021. 2. 25. 05:03
728x90
반응형

 

증상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⑤피부과편

 

<탈모증>

겨기름, 신문지기름, 마늘, 검은깨, 대마씨, 흰개젖, 고삼씨, 자초, 측백나무잎, 콩, 지네, 계란유연 사용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9개 분야로 분류하여 포스팅할께요.

 

 

바로 피부과편 내용 중 탈모증입니다.

 

출처 : 미디어데일

 

탈모?

독두병?

유풍?

머리의 불청객?

 

 

탈모는 생리적으로 털이 빠지는 것을 의미하며 정상적으로 모발이 있어야 할 자리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은 우리나라 사람인 경우는 10만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있으며, 하루에 약 50~100개까지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자고 나서나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머리카락의 수가 100개가 넘으면 병적인 원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담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보통 하루에 어느 정도 머리카락이 빠지나요?

오늘부터 한번 세어볼까요?

 

머리카락은 왜 빠지는 걸까요?

 

탈모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유전적 요인과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 과다분비로 인하여 발생된다고 합니다.

 

탈모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보면 내분비 질환과 영양 결핍 그리고 약물 사용과 출산, 발열, 수술 등의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노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탈모로 모발의 일부가 생장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빠지게 된다고 합니다.

 

탈모증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유형은 원형탈모증으로 흉터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탈모 질환에는 빈도가 높은 대머리(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등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떤 상태인가요?

 

그리고 탈모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무엇을 하고 계신가요?

 

출처 : 대한민국정책브리핑

 

 

더 이상 설명 안해도 되겠죠?

이제는 탈모 치료에 좋은

민간요법 알아 볼까요?

 


자~ 그럼 제주도로 가보실까요?

머리 하영 빠졈수꽈?

- "머리 많이 빠지고 있나요?" 의 제주도 사투리 -

 

 

 

* 탈모증(脫毛症), 유풍(油風)

출처 : 건강과 민간요법(1980, 진태준)

 

탈모증이란 사람 머리의 모발, 즉 머리털이 빠져 나가는 일종의 병적 증상을 말한다.

탈모증에는 특히 머리털이 빠져 나가는 증상을 독두병(禿頭病)이라 하며, 한방에서는 유풍(油風)이라고 말한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개 기생충이나 약물중독, 또는 내분비장애나 신경성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탈모증의 증상은 보통 우리의 머리 부분에서 오는 경우가 가장 많으나 때로는 눈썹과 수염, 심지어는 겨드랑이에까지도 발생하는 수가 있다.

 

그 탈모되는 모양을 보면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털이 빠져 나가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심하면 그 증상이 머리 전체에 퍼져서 가끔 대머리가 되는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다.

 

탈모증을 치료하는 제주도 민간요법?

 

탈모증 치료 제주도민간요법 12가지

 

1. 겨기름을 만들어 바른다

2. 신문지기름을 만들어 바른다

3. 마늘을 잘라 문질러 준다

4. 검은깨를 분말로 만들어 사용한다

5. 마인(삼)씨를 가루로 만들어 사용한다

6. 흰개젖을 탈모 부위에 바른다

7. 고삼씨로 술을 만들어 바른다

8. 자초를 달인 물을 바른다

9. 측백나무잎으로 머리를 감는다

10. 콩을 삶아 즙을 만들어 바른다

11. 지네를 참기름에 담가 사용한다

12. 계란유연을 계속 바른다

 

 

하나, 겨기름을 만들어 바른다

 

겨기름(糖油, 제주도방언 : 조체기름)을 계속 탈모된 부위에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겨기름을 만드는 방법은 먼저 사발과 같은 부리가 넓은 그릇을 준비하고 창호지나 아니면 면으로 된 헝겊으로 사발 위를 덮고 그대로 그 둘레를 끈으로 동여 맨 다음 그 위에는 벼(쌀)나 조에서 나온 가루 겨를 얹어 놓고 거기에 불을 붙여 놓으면 겨가 서서히 타면서 그 겨속의 기름이 스스로 사발 바닥에 흘러 내려 고이게 된다.

이것을 모아 두었다가 민간에서는 탈모증의 약으로 쓰게 된다.

 

출처 : 아시아경제

 

쌀겨에는 미네랄, 비타민E, 비타민A, 철분, 인 등 다양한 영양소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이 피부를 젊고 환하게 만들어 주는데 효과가 있어 피부 보습과 항염효과, 영양공급 등에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둘, 신문지기름을 만들어 바른다

 

신문지기름을 계속 탈모된 부위에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신문지 기름을 얻는 방법은 겨기름을 얻는 방법과 비슷하나 사발위를 덮는 헝겊을 가는 철조망으로 바꿔 쓰면 된다.

 

 

셋, 마늘을 잘라 문질러 준다

 

소아의 탈모증에는 마늘(제주도방언 : 콥대사니)을 잘라 환부에 자주 문질러 주면 효과가 있다.

 

출처 : 웰니스

 

마늘은 알리신이라는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항암, 면역력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우리 몸이 지치고 힘들때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로회복과 활력을 불어 넣어 주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넷, 검은깨를 분말로 만들어 사용한다

 

검은깨를 볶아 분말로 만들고 알콜을 섞어 물렁 물렁하게 반죽한 후 잘 보관하였다가 이것을 계속 탈모된 자리에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검은 깨에는 항산화 비타민으로 불리는 비타민E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과 간기능을 돕고 해독작용을 높여준다고 하며, 또한 예로부터 검은깨 기름은 두피에 바르면 대머리에서 모발이 자란다고 알려져 왔다고 합니다.

검은 깨를 9번 찐후에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내고 그 가루로 환을 만들어 복용하면 백발도 검게 만들었다고 할 만큼 모발에 검은깨가 좋다고 합니다.

 

다섯, 마인(삼)씨를 가루로 만들어 사용한다

 

마인(麻仁, 삼의 씨를 말함)을 약 80그램 정도 볶아 가루를 만들고 돼지기름에 개어 매일 2~3 차례씩 계속 바르면 효과가 있다.

 

출처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마인은 삼, 대마 또는 마라고도 불리며, 씨에는 지방유가 30%나 들어 있으며 혈압을 내리고 또한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방지하는데도 도움을 준다고 하여 장수기름으로 예로부터 전해져 왔으며 유일하게 물에 녹는 기름이라고 합니다.

 

여섯, 모공에 흰개젖을 바른다

 

백구유(白狗乳, 재주도방언 : 흰개젖)를 매일 2~3회씩 계속적으로 탈모된 부위에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일곱, 고삼씨로 술을 만들어 바른다

 

껍질 벗긴 고삼씨(苦蔘子, 제주도방언 : 너삼씨) 20그램을 고량주(빼갈) 800cc에 담가 7일간 두었다가 이것을 매일 3회 정도로 계속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고삼은 그 맛이 쓰고 삼의 효능이 있다하여 고삼이라고 하며, 도둑놈의 지팡이, 너삼, 뱀의 정자나무라고도 합니다.

고삼은 열을 식혀 습을 제거하고 살충작용이 뛰어나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가 좋다고 예로부터 전해져 온다고 하며, 또한 탈모예방과 머리를 나게 하는 모발성장촉진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여덟, 자초를 달인 물을 바른다

 

자초를 달이면서 이 물로 매일 3회씩 계속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자초는 강력한 해독작용과 심장을 튼튼하게 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주어 원기 회복과 입맛을 북돋아 주는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항균 및 항염작용이 뛰어나 여드름, 무좀, 아토피 등의 질환에도 좋은 효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아홉, 측백나무잎으로 머리를 감는다

 

측백나무잎 1근을 가루로 만들고 돼지기름에 개어 약 20그램 정도의 크기로 알약을 만들어 보관하여 두었다가 매일 1회씩 1알을 따끈한 물에 풀러 머리를 감으면 좋다.

이 치료법을 3개월 이상 계속하면 효과가 있다.

 

 

측백나무는 예로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라하여 열매나 잎을 먹고 신선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옵니다.

측백나무잎은 몸에서 나는 나쁜 냄새를 없애주며, 흰머리가 검어지고 뼈와 이빨이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열, 콩을 삶아 즙을 만들어 바른다

 

소아의 탈모증에는 식초에 콩(大豆)을 삶아 그 즙을 내어 자주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콩에는 콜라겐 생성과 피부 탄력 개선 및 주름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 있으며, 항산화작용과 피부보호막기능 개선 작용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탈모에 좋은 영양소인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란 성분이 들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해 탈모의 원인이 되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과다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탈모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열하나, 지네를 참기름에 담가 사용한다

 

지네(제주도방언 : 주넹이)를 잡되, 큰 놈은 한마리, 작은 놈은 두마리쯤 해서 소금을 약간 넣고 참기름 한사발에 약 15일 정도 담가두었다가 이것을 자주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지네는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근육이 아프거나 떨리는 증상을 없애준다고하여 예로부터 타박상이나 관절이 아플 때 지네를 달여서 먹었다고 합니다.

또한 피부 염증성 질환이나 화상에는 외용제로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열둘, 계란유연을 계속 바른다

 

계란유연(鷄卵油煙)을 1일 2~3회씩 계속적으로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계란유연을 만드는 방법으로서는 먼저 노란자위만을 미농지(닥나무 껍질로 만든 질기고 얇은 종이)에 발라 그늘에서 말린 다음 미농지를 찢어서 노끈을 만든다.

이 것을 접시 위에 놓고 또 하나의 접시를 덮고 그 속의 노끈에 불을 붙여 태운다.

타고 난 뒤 접시의 안쪽에는 유연이 묻는다.

이것을 긁어 모았다가 약으로 쓰면 되는 것이다.

 

 

계란은 일반적으로 대부분 가정에서 여러 음식에 들어가서 맛을 내기도 하고, 삶아 먹기도 하며 프라이로 간단하게 먹기도 하는데 계란에는 단백질과 비오틴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탈모예방에 좋은 음식이라고 합니다.

또한 비듬과 지루성두피염, 건성 탈모를 예방하고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는 영양소인 비오틴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힘이 약한 모발을 튼튼하게 만들어 주고 모발 성장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탈모 관련 기사에서 본 내용인데 국민 5명 중 1명은 탈모로 고민한다고 합니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 증상은 대표적인 중년 남성의 질환이며 고민거리라고 여겨져 왔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층에서도 머리카락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빠지는 고통을 호소한다고 하네요.

보통 탈모 예방 관련해서는 채소가 들어 있는 각종 영양소가 머리털의 성장을 돕고 모공을 보호하며, 탈모를 퇴치한다고 하는 내용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내용을 종합해 보면

탈모예방에 좋은 음식을 평상시에 골고루 섭취하고 꾸준한 운동과 식단관리를 통해서 건강한 모발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제붜는 민간요법이 알려주는 레시피로 식단관리를 하면 어떨까요?

 

 

바라건데 독자 여러분께서는 이 변변치 못한 한 권의 민간요법이 우리 조상의 슬기를 모은 선물로써 가정마다 일상생활의 건강을 돌보는데 조그마한 보탬이 되며 나의 연구실의 일을 덜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지은이로서는 그 이상의 보람이 없을 것이다.

- [건강과 민간요법] 머리말 中 에서 -

 

 포스팅은 제주도민간요법을 소개하는 글이기 때문에 [건강과 민간요법(1980, 진태준)]에 있는 내용을 인용하지 않으면 생생하고 실감나는 제주도 민간요법에 대해 설명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 글을 읽는 방문자님과 저자분께 정중히 양해의 말씀을 드리면서 증상에 따른 치료법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당부의 글>

민간요법은 말 그대로 "어디 아프다"하면 "그거 이런거 써봐" 하면서 구전되어 내려온 것이기 때문에 완전한 치료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혹시라도 이것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알고 사용하다 몸이 축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디 아프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을 하셔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