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발기부전과 조루에 좋고 시력감퇴와 이명에도 좋은 새삼씨 토사자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9. 5. 03:08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② 과실종자류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토사자입니다.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한 1년생 기생본초인 새삼, 실새삼의 씨를 건조시킨 것으로 가을에 성숙하면 식주를 거두어 햇볕에 말리고 쳐서 종자를 털어내 잡질을 제거하는데, 약재는 잡질이 없고 낱알이 충만한 것이 좋다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황금알농원

 

 

 

<약재(약초) 포제방법>

 

출처 : (블로그)바이산

 

<토사자>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염토사자>

ⓛ 깨끗한 토사자를 소금물로 잘 섞고 잠시 밀폐한 뒤 솥 안에 넣고 약한 불로 볶아 말려서 꺼내어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토사자 10kg 당 소금(식염) 0.2kg을 사용한다.

 

<주토사병>

ⓛ 깨끗한 토사자를 솥 안에 넣고 적당량의 물을 가하여 약재가 터져 벌어질 때까지 삶고 삶을 때에는 국자같은 것을 사용하여 끊임없이 저어주고 물이 웬만큼 흡수되고 약재가 끈적끈적해져 풀과 같이 되었을 때에 적당량의 황주와 밀가루를 가해 골고루 섞은 다음 사벙 1cm 정도의 덩어리로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토사자 10kg 당 황주 1.5kg, 밀가루 1.5kg을 사용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초사자>

① 구형을 띠고 가늘며 작고 직경은 1~1.5mm이며, 세밀한 망상의 주름무늬가 있으며, 한쪽 끝에는 함몰된 선형의 종제가 있고 질은 견실하며 향기는 약하고 맛은 담백하다.

② 생품은 질이 단단하여 분쇄하기 어려우며 이 약물은 품기(원기)가 중화해서 양을 보할 쭌만 아니라 음을 보할 수도 있으며, 따뜻하되 마르지 않게 하고 적체하지 않게 보하는 특징과 함께 간장 신장 비장을 보하는 양약이다.

③ 생품은 간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는 힘이 우수하므로 간신부족으로 시력감퇴, 눈이 어둡고 침침한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염토사자>

① 형태는 토사자와 같으며 색택은 더 짙고 표면에 열구가 있으며 맛은 약간 짜다.

② 염자 후에는 잘 분쇄되어 약효의 전출이 유리해지고 또한 약을 신경으로 인경 하행시켜 보신작용이 증강되므로 신허로 인한 양위(발기부전), 유정 및 이명(귀울림), 요슬산통(무릎이 쑤시고 저리며 걷거나 앉아 있을 때에도 매우 심한 고통을 느끼는 증상), 소변빈삭(소변이 자주 마려운 병증) 등이 있을 때에 많이 활용한다.

 

<주토사병>

① 1cm의 작은 모난 덩어리로 표명은 회종색을 띠며 약간 술 냄새가 난다.

② 주자제병한 후에는 신장을 보하고 장을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이 증강되므로 신양부족으로 양위조설(발기부전 및 조루), 요빈유뇨(배뇨 횟수가 잦고 소변이 저절로 나오는 병증), 요슬산연(허리와 무릎이 연약하고 시림)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 많이 활용한다.

 

<약재(약초) 활용>

 

약재(약초) 특징과 효능, 포제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 소개한 약재(약초)는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두면 좋을 듯 하여 전에 포스팅한 내용도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불임증을 치료할 수 있고 정력이 증진되는 토사자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kyk0001.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