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전호입니다.
전호는 산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인 백화전호 또는 바디나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겨울철과 이듬해 봄에 줄기와 잎이 마르거나 혹은 꽃대가 아직 나오지 않았을 떄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저온상태에서 말리는데, 약재는 굵고 질이 부드러우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고 합니다.
소개하는 약재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고 난 후 포제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그러면 약재에 대한 특징과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약재(약초) 포제방법>
<전호>
ⓛ 원약재의 잡질과 잔 줄기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물에 담가 물기를 흡수시키고 얇게 절편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밀전호>
ⓛ 연밀을 적당량의 끓인 물과 희석하고 전호절편을 넣고 골고루 뒤집어 희석액이 다 흡수될 때쯤에 솥 안에 넣고 약한 불로 표면이 황색을 띨 때까지 볶는데 끈기가 없어졌을 때 꺼내어 식힌다.
② 밀봉시켜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전호 10kg당 연밀 2.5kg을 사용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전호>
① 불규칙한 원형에 가까운 얇은 절편으로 표면은 옅은 황백색 혹은 백색에 가깝고 갈색고리와 방사상의 무늬를 볼 수 있으며 껍질부위에는 다수의 황갈색 유관속(유점)이 흩어져 있고 주변은 흑갈색 혹은 회황색을 띠며 방향성이 있고 맛은 약간 쓰며 맵다.
② 생품은 풍담을 없애는 힘이 강하므로 풍열감모(풍열사를 받아서 생긴 감기) 초기, 기침 및 가래가 많은 증상 등에 많이 활용한다.
<밀전호>
① 형태는 전호 절편과 같고 표면은 진한 황색을 띠며 약간 광택이 있고 맛은 약간 달다.
② 밀자 후에는 폐를 윤활히 하여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이 증강되므로 해수에 표증이 이미 없어졌을 때, 폐열해수(폐에 생긴 여러 가지 열증(熱證)으로 기침이 나는 것), 담조(끈적거리는 가래) 등에 많이 활용한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질 출혈과 하혈 증상의 지혈 효능과 피부습진에도 좋은 오이풀 뿌리 지유 약재 포제법 (0) | 2023.06.27 |
---|---|
몸안의 열기로 갈증과 마른 기침이 나고 변비증상에 좋은 지모 약재 포제법 (0) | 2023.06.26 |
생리불순과 가슴 옆구리 통증, 피부반점과 종양을 다스리는 적작약 약재 포제법 (0) | 2023.06.24 |
가래가 많고 숨가쁜 기침이나 마른기침에 활용되는 개미취 뿌리 자완 약재 포제법 (0) | 2023.06.23 |
오랜 병으로 몸이 야위고 허리와 무릎이 시린 증상과 발기부전에 좋은 인삼 약재 포제법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