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천초근입니다.
천초근은 꼭두서니과에 속한 다년생 반원초본인 꼭두서니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줄기와 싹을 제거하고 진흙 및 수염뿌리를 깨끗이 제거한 다음 말리는데, 약재는 두껍고 길며 겉껍질은 홍갈색을 띠고 단면은 붉은 황색을 띠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소개하는 약재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고 난 후 포제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그러면 약재에 대한 특징과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월경불순과 구내염에 좋은 꼭두서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월경불순, 통경, 이뇨, 구내염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월경불순은 불규칙한 월경을 하는 증상을 말하고, 통경은 병적으로 월경을 못하는 것을 치
kyk0001.tistory.com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약재(약초) 포제방법>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천초>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물기를 약간 흡수시킨 다음 두텁게 절편 혹은 작은 단으로 절단하여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천초탄>
ⓛ 천초절편 혹은 천초 단을 뜨거운 솥 안에 넣고 강한 불로 표면이 그을린 흑색을 띠며 내부는 갈색을 띨 때까지 볶고 맑은 물 한모금을 뿌린 다음 꺼내어 그늘에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천초>
① 불규칙한 두터운 절편 혹은 작은 단으로 표면은 붉은 황색을 띠고 주변은 홍갈색을 띠며 작은 구멍이 다수 흩어져 있고 몸체는 가벼우며 냄새는 없고 맛은 약간 쓰다.
② 생품은 혈열을 식히고 출혈을 멎게 하며 어혈을 없애 월경장애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천초탄>
① 형태는 천초절편 혹은 천초 단과 같고 그을린 흑색을 띠며 내부는 갈색을 띤다.
② 초탄 후에는 맛이 쓰고 떫으며 성은 차면서도 평이함에 치우치게 되며 지혈작용이 강해진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변불리와 설사, 허리 무릎이 시큰거리고 약해진 증상에 좋은 택사 약재 포제법 (0) | 2023.07.07 |
---|---|
독성이 있으나 류머티즘관절염과 중풍 뒤틀림 마비에 사용되는 초오 약재 포제법 (0) | 2023.07.06 |
유독하여 외용으로 허리 다리의 차가운 통증, 옴버짐, 종기에 사용하는 천오 약재 포제법 (0) | 2023.07.04 |
기침할 때 피가 섞여 나오거나 마른기침을 하는 증상에 좋은 천문동 약재 포제법 (0) | 2023.07.03 |
어지럼증과 두통에 좋고 류머티즘관절염과 파상풍에도 좋은 천마 약재 포제법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