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⑩ 광물류(鑛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웅황입니다.
웅황은 단사정계에 속하는 웅황의 광석으로서 황화물류 웅황으로 주로 이황화비소를 함유하며 채굴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약재는 덩어리가 크고 질이 무르며 홍색이고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웅황분>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덩어리가 큰 것은 부수며 적당한 양의 물을 넣고 함께 죽 모양이 될 때까지 갈은 후 다량의 물을 넣어 저어서 조금 머물렀다가 흐린 액을 부어낸다. 아래에 침전된 굵은 가루는 계속 가루를 내는데 위의 방법과 같이 여러 차례 반복 조작하여 잡질을 제거한 다음 현탁액을 모두 합해 가만히 둔 루 침전액을 분리해 말리고 갈거나 혹은 기계를 사용하여 극히 고운 가루로 간다.
② 그 다음 밀본하여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초쉬웅황>
① 깨끗한 웅황을 취하여 초쉬법으로 포제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웅황분>
① 극히 고운 가루로 청홍색이고 무게가 무거우며 냄새가 특이하고 코를 찌르며 맛이 연하다.
② 외용해서 이독공독(독이 있는 약으로 독을 치료하는 방법)하면 해독살충하는 효과가 있으며, 내복하면 성이 건조해서 습담을 없애고 경기와 학질발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주로 옹종정창(옹종(癰腫)으로 생긴 창양(瘡瘍)), 시충교상(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충적복통(벌레(기생충)가 배에 몰려 아픈 증상), 경간학질 등의 병증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③ 수비(水飛)해서 고운 분말을 만들면 독성이 떨어지므로 임상에 내복하거나 외용할 때 편리하다. 옹종정창을 치료할 때는 단방이나 복방으로 사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하석고>
① 형태는 웅황분과 같고 약간 식초냄새가 난다.
② 초는 맛이 시어서 간으로 들어가고 해독살충 및 종기를 삭이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잇다. 웅황을 초제하면 풍습을 없애고 옹종을 삭이며, 해독과 살충하는 작용이 증강되는 동시에 웅황의 독성도 감소된다. 그 효능과 주치는 웅황분과 같고 독성은 더 낮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과 철분 결핍성 빈혈, 신경쇠약으로 인한 불면증에 좋은 자석 약재 포제법 (2) | 2023.11.19 |
---|---|
해독, 살충 및 종기를 치료하고 복통과 설사 증상에도 사용하는 유황 약재 포제법 (2) | 2023.11.18 |
가슴 답답함을 없애고 상처를 아물게하여 새살을 돋게 하는 석고 약재 포제법 (2) | 2023.11.16 |
목에 가시나 뼈가 걸리거나 구내염 증상에 사용하는 붕사 약재 포제법 (2) | 2023.11.15 |
해독 및 살충, 피부 가려움증을 멎게 하고 피부 괴사를 치료하는 백반 약재 포제법 (2)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