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간을 보호하여 눈을 밝게하고 위산과다에도 좋은 석결명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10. 26. 02:22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⑨ 동물류(動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석결명입니다.

 

석결명은 전복과에 속한 동물인 말전복 또는 기타 동속근연동물 또는 오분자기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으로 여름과 가을에 잡아서 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씩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오풀바

 

 

 

<약재(약초) 포제방법>

 

출처 : (블로그)심호당한의원

 

<석결명>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말린다.

② 사용할 때는 찧어서 분쇄하거나 분말로 만든다.

 

<하석결명>

ⓛ 깨끗한 석결명을 연기가 나지 않는 강한 불에 직접 넣어서 하(煆 굽는다)한다. 완전히 붉은 색을 띠면 곧바로 꺼내서 식힌다.

② 분말로 만들거나 혹은 찧어서 분쇄한다.

 

<염석결명>

ⓛ 석결명을 취하여 염자법으로 포제한다.

 

<미감수제석결명>

ⓛ 석결명 분말을 미감수(쌀뜨물)에 적시고 말린다.

② 톨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석결명>

① 이 약은 불규칙하게 부서진 편상으로 겉표면은 거칠고 회종색을 띠며 청회색의 반점이 있고 내면은 광택이 있으며 매끄럽다. 껍질의 꼭대기 부분에는 돌기가 있으며 분쇄하면 회백색을 띠고 거칠며 진주같은 광채가 있고 질은 단단하다.

② 생품은 질이 단단해서 유효성분의 전출이 어렵다. 또한 맛이 짜고 질이 무거우며 오로지 간경으로 들어가서 간양을 가라앉혀 간 기능을 회복하는 효능이 우수하고 차가운 성질은 간화와 간양을 식히고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간양으로 인한 어지럼증과 간화로 인한 눈 붉음 증상을 치료한 요약이 된다. 총괄해보면 석결명의 작용은 간열을 식혀 눈을 밝게 하는 작용으로 안질환을 치료하는 요약이므로 결명(決明)하는 효능이 있다.

 

<하석결명>

① 회백색이 되고 질이 성겨서 쉽게 분쇄되며 광택이 없어진다.

② 하한 후에는 질이 연유처럼 물러져서 분쇄와 유효성분의 전출이 더욱 쉬워지고, 차갑고 서늘한 성질이 저하되며 간을 보호하여 눈을 밝게 하고 눈의 예막을 치료하는 작용 및 수렴, 제산, 지혈 작용에 치우치고 수삽작용을 겸하므로 안생외장, 청맥작목, 치창루관(치질 치루)과 외상출혈 등을 치료할 때 많이 활용한다. 또한 제산지통 효능이 있어서 위산과다로 인한 위완동통에 활용한다.

 

<염석결명>

① 형태는 석결명과 같고 짠맛이 있다.

② 염자한 후에는 그 짠맛을 더욱 짜게 하고 차가운 성질을 저욱 차게 하며 약물을 신경으로 이끌어 간화를 식히고 배출하며 눈을 밝게하고 예막을 치료하는 작용을 증강시킨다. 아울러 열증을 없애는 효능을 겸한다.

 

<미감수제석결명>

① 분말형태로 담담한 맛이 약간 있다.

② 미감수에 석결명 분말을 적셔서 하(煆)한 후에는 맛이 달며 성이 차가워지고 혈열을 식혀 간 기능 회복 및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이 증강되므로 혈허로 인해 열이 눈으로 쏠려 나타난 목적종통, 시물혼화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