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⑨ 동물류(動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별갑입니다.
별갑은 자라과에 속한 돌물인 자라의 등딱지를 건조시킨 것으로 사계절 모두 채취하여 죽여서 끓는 물에 넣고 등껍질의 딱딱한 껍질이 벗겨져 떨어질 수 있을 때 꺼내어 남은 고깃덩이를 제거한 다음 햇볕에 건조시키는데, 약재는 크고 남은 고깃덩이가 없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별갑>
ⓛ 원약재를 깨끗이 씻고 증기 솥ㅇ 넣어 끓는 물에 약 45분간 찐 다음 꺼내어 뜨거운 물에 넣었다가 단단한 솔로 피육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 두었다가 사용할 때 부수어 사용한다.
<초별갑>
ⓛ 모래를 솥에 넣고 강한 불로 뜨겁게 볶은 다음 깨끗한 별갑을 넣어 표면이 옅은 황색이 될 때까지 볶아서 꺼낸 다음 모래를 체로 쳐서 제거하고 뜨거울 때 식초에 담갔다가 건져내어 건조하고 부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별갑 10kg당 식초 2kg을 사용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별갑>
① 불규칙적인 부스러기모양으로 바깥 표면은 흑갈색 혹은 검은 녹색이며 내부 표면은 백색과 유사하고 질이 단단하며 비린내가 나고 맛은 담백하다.
② 생품은 음을 보하고 양기를 가라앉히며 열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어서 음허노열(음허(陰虛)로 인해 생기는 오열(惡熱)증상), 골증도한(골증(骨蒸)에 도한(盜汗)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할 경우에 많이 활용한다.
<초별갑>
① 형태는 별갑과 비슷하고 짙은 황색으로 질은 잘 부서지고 약간 식초냄새가 난다.
② 생품은 질이 단단하고 비린내가 있는데 사탕 및 초쉬한 후에는 질이 연유처럼 부드러워져 쉽게 부서지며 맛과 향도 좋아진다. 또한 성분도 쉽게 전출되고 간경에 들어가 적체를 없애는 작용과 뭉친 것을 부드럽게 푸는 작용을 증강시킨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을 보호하여 눈을 밝게하고 위산과다에도 좋은 석결명 약재 포제법 (2) | 2023.10.26 |
---|---|
소변이 저절로 나오거나 배뇨횟수가 많아질 때 좋은 상표초 약재 포제법 (2) | 2023.10.25 |
파상풍과 류머티즘관절염에 좋은 백화사 약재 포제법 (2) | 2023.10.23 |
해독 및 뭉침을 풀어주고 중풍성 신경마비에 좋은 백강잠 약재 포제법 (2) | 2023.10.22 |
임파절 멍울, 사마귀, 종기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반묘 약재 포제법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