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오한발열, 가슴답답함 및 울렁거림 구토에 좋은 차조기 자소엽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9. 22. 04:00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④ 엽류(葉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자소엽입니다.

 

자소엽은 꿀풀과에 속한 1년생 초본인 차조기, 차즈기 또는 주름소엽의 잎 및 끝가지를 건조한 것으로 9월 상순(백로 전후)에 자엽이 무성하고 화서가 나오기 시작할 때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고 합니다.

 

소개하는 약재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고 난 후 포제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그러면 약재에 대한 특징과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가래와 기침을 멎게하고 생선, 게, 육류의 식중독을 풀어주는 차조기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진해, 건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진해란 기침을 진정시키는 효능을 말하고, 건위는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기 위한 처방을 말함.

kyk0001.tistory.com

 

 

 

<약재(약초) 포제방법>

 

출처 : 네이버쇼핑

 

<자소엽>

ⓛ 원약재의 잔가지, 노경 및 잡질을 제거하고 잎은 뒤섞어서 부수며 앞에 달려 있는 부드러운 잎자루는 절단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소경>

ⓛ 자소엽의 정제시 나오는 잔가지와 노경은 별도로 모아 소경으로 사용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자소엽>

① 대부분 쭈글쭈글하게 주름에 지고 둥글게 말려 있거나 혹은 부서져 있으며 자녹색을 띠며 약간의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맵다.

② 생품은 땀을 내어 기표의 한사를 배출하는 작용이 있어서 외감풍한으로 인한 오한발열, 해수기천(기침할 때 숨은 가쁘나 가래 끓는 소리가 없는 증상) 등의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소경>

① 암자색을 띠며 단면의 가운데 부위에는 수(隨)가 있다.

② 기를 잘 통하게 하여 태아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가슴 답답함 및 울렁거림 구토 증세와 기의 정체 및 태동불안에 많이 활용한다.

 

<약재(약초) 활용>

 

약재(약초) 특징과 효능, 포제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 소개한 약재(약초)는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두면 좋을 듯 하여 전에 포스팅한 내용도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노이로제를 해소하고 콜레스테롤 제거와 야맹증에 좋은 차조기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kyk0001.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