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변혈, 붕루, 산후 빈혈에 활용하는 형개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9. 16. 03:31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③ 전초류(全草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형개입니다.

 

형개는 꿀풀과에 속한 1년생 포본식물인 형개의 꽃이삭을 건조시킨 것으로 여름과 가을에 꽃이 절정에 이르러 화수(꽃이삭)가 녹색일 때 베어서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는데, 약재는 옅은 황록색이고 화수가 길고 조밀하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출처 : (블로그)진도푸르미농장

 

 

 

<약재(약초) 포제방법>

 

출처 : 네이버쇼핑

 

<형개>

ⓛ 원약재의 잡질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물로 씻어 약간 축인 후에 단으로 잘라 햇볕에 건조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형개수>

ⓛ 원약재의 화수(꽃이삭)을 취하여 먼지를 체로 걸러낸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형개탄>

ⓛ 깨끗한 형개 단을 솥 안에 넣고 강한 불로 표면이 그을린 흑색이 되고 내부는 그을린 갈색이 될 때까지 볶고 맑은 물을 약간 부어서 불티가 없어지면 꺼내어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완전히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형개수탄>

ⓛ 깨끗한 형개수를 솥 안에 넣고 강한 불로 표면이 그을린 흑색이 될 때까지 볶고 맑은 물을 약간 뿌려 불티가 오나전히 없어지면 꺼내어 음지에서 건조하여 완전히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형개>

① 형개는 불규칙한 작은 단모양으로 줄기, 잎, 이삭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줄기는 방형(方形)을 띠며 담황록색이거나 담자홍색이며 겉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고 엽편은 주름지고 구부러져 있으며 부서져 있다. 화수는 담종색이거나 황록색이며 방향성이 있고 맛은 약간 떫으면서 맵다.

② 형개수는 불규칙한 단 모양으로 화관은 많이 탈락되어 있고 묵은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앞쪽 끝에는 5개의 치열(齒裂)이 있고 담황색이거나 황록색이며 겉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고, 방향성이 있으며 맛은 약간 떫으면서 맵다.

③ 생품은 거풍(풍사 제거) 및 해표투진(피부에 발진을 돋게 함. 즉, 통상 발진이 있는 질병인데 발진이 돋지 않거나 속으로 들어가는 증세의 경우) 효능이 뛰어나므로 외감풍한(외부에서 침입한 풍한사(風寒邪)), 외감풍열(외감(外感) 중 풍열(風熱)이 인체로 침입한 증상) 등의 병증과 마진(홍역)의 발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단 형개수의 작용이 형개보다 강하다.

 

<형개탄>

① 형태는 형개 단과 같고 탄내가 난다.

② 초탄한 후에는 매운 성질을 퍼트리는 성질이 감소되고 지혈의 효능이 증강되므로 혈중의 풍약이 된다. 따라서 변혈, 붕루, 산후 혈훈(빈혈) 등에 많이 활용한다.

 

<형개수탄>

① 형태는 형개수 단과 같고 표면은 흑갈색이며 줄기의 내부는 그을린 황색이며, 맛은 쓰고 약간 매운 향이 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