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⑨ 동물류(動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와릉자입니다.
와릉자는 돌조개과에 속한 연체동물인 새꼬막 또는 꼬막 또는 피조개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께끗이 씻고 끓는 물에 넣고 대충 달인 후 육질을 제거한 다음 말리는데, 약재는 고르고 깨끗하며 남아있는 고깃덩이가 없고 모래 흙이 없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와릉자>
ⓛ 원약재를 물로 깨끗이 씻고 건져내어 건조한 다음 빻아서 부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하와릉자>
ⓛ 깨끗한 와릉자를 적당한 용기에 넣고 화로에서 잘 부스러질 때까지 태우고 꺼내어 식힌 다음 빻아서 가루 낸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와릉자>
① 굵은 분말 혹은 고운 가루모양으로 화백색이다. 비교적 굵게 부스러진 덩어리는 기와의 능선모양이 나타나고 냄새가 없으며 맛이 담백하다.
② 생품은 가래를 없애고 어혈을 풀며 뭉친 것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효능이 강하다. 근래에는 임상에서 이 약을 간비종대(간 비장이 붓고 커진 병증)와 소화관의 종류(腫瘤)에도 사용한다.
<하와릉자>
① 형태는 와릉자와 비슷하고 등회색 혹은 회색이며 냄새가 없고 맛이 없다.
② 하한 후에는 질이 연유처럼 물러져서 분쇄하기가 쉽고 아울러 산을 없애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뛰어나므로 어혈적체로 인한 위완부 통증, 신물을 개우는 등의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 병으로 몸이 허약하거나 오랜 기침을 멎게 하는 자하거 약재 포제법 (4) | 2023.11.03 |
---|---|
정신을 안정시키고 오래된 설사 이질을 멎게 하는 용골 약재 포제법 (2) | 2023.11.02 |
중풍 및 구안와사, 반신불수 증상에 활용하는 오초사 약재 포제법 (2) | 2023.10.31 |
어혈을 없애고 출혈과 통증을 멎게 하는 오령지 약재 포제법 (0) | 2023.10.30 |
급만성 경풍, 파상풍, 중풍, 간질에 사용하는 오공 약재 포제법 (2)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