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초 효능과 민간요법

월경장애, 대하증 등 부인병과 눈병에 효과 있는 물푸레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사랑꾼 2021. 6. 26. 04:25
728x90
반응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물푸레나무>

부인병, 눈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부인병이란 부인의 생식기 질환 및 여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이상에 관한 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물푸레나무입니다.

 

 


* 과명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학명 : Fraxinus rhynchophylla

* 약명 : 진피(秦皮), 진피수(秦皮樹)

* 이명 : 침목, 백심목, 수청목, 청피목, 동과목, 수거류, 화곡류, 대엽백사수, 대엽송, 백사수, 물푸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물푸레나무는 전국의 산기슭, 개울가, 골짜기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높이는 10미터 전후로 자라며,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으로 흰 빛깔의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있구요.

 

재질이 단단하여 농가에서는 농기구의 자루를 만들고 괭이자루, 도끼자루 등을 만들어 쓰여지고 있는 나무 중 하나라고 하네요.

 

두꺼운 주목은 주로 가구를 만드는데 사용이 되기도 하고, 예전엔 염색 염료로도 사용했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한 편이라고 합니다.

 

 

물푸레나무 꽃말은 겸손, 열심을 뜻한다고 합니다.

 

물푸레나무 이름에 대한 유래를 살펴볼까요?

 

첫번째로는

단단하고 잎이 가늘며 나무 껍질에 흰점이 있어 예로부터 "백심목(白尋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고 하구요.

 

두번째로는

강원도에서는 물이 푸르게 된다(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그면 물이 새파랗게 된다)고 하여 "수청목(水靑木)"이라고도 하고, "청피목(靑皮木)"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고 하네요.

 

세번째로는 물푸레나무에 얽힌 전설입니다

 

북유럽에서는 오딘과 물푸레나무에 관한 전설이 있다.

오딘(Odin)은 북유럽의 최고신이며 게르만 민족이 신봉하는 신으로서, 중세암흑기에 전쟁만 하던 유럽에서는 싸움의 신으로 높이 추앙 받았으며, ‘만물의 아버지’라고 불리어졌고, 오딘은 천지나 인간의 창조자인 동시에 모든 다른 신들은 모두 오딘의 아들이라고 한다.

‘창을 던지는 자’, ‘싸움의 아버지’, ‘ 전사의 아버지’ 등 많은 별명을 갖고 있는 절대적인 오딘은 영원히 죽지 않고 사는 유일한 존재라고 믿었다.

 

오딘이 어느 날 바닷가를 거닐다가 세상의 인간이 아직 한 사람도 없음을 쓸쓸하게 생각한 나머지, 언덕 위에 서있는 물푸레나무로 남자를 만들었다.

그래놓고 보니 남자들만 사는 모습이 왠지 만족스럽지 않아서 이번에는 맞은편 언덕에 서 있는 오리나무로 남자의 짝이 되는 여자를 만들었다.

물푸레나무로 만든 최초의 남자를‘아스케’, 오리나무로 만든 최초의 여자를‘엠브라’라고 이름을 지었는데, 이 두 남녀가 바로 인간의 조상이라고 한다.

출처 : (블로그)오마쥬가든

 

네번째로는 또 다른 전설입니다.

 

아주 큰 물푸레나무인 세계수 유그드라실(Yggdrasil) 한 그루가 이 우주 전체를 떠받들고 있으며, 그 물푸레나무에는 3개의 큰 뿌리가 있는데, 첫째 뿌리는 ‘아스가르드’신과‘미드가르드’신의 집으로 뻗쳤고, 둘째 뿌리는 ‘요툰헤임’이라는 거인의 집에 뻗쳤고, 셋째 뿌리는 ‘무스페레헤임’이라는 밤과 추인(醜人)의 땅에 뿌리를 박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물푸레나무의 첫째 뿌리 옆에는 과거, 현재, 미래의 샘물이 흐르고 있고, 둘째 뿌리 옆에는 미미르의 샘이라는 지혜의 샘이 있고, 셋째 뿌리옆에는 독사의 샘이 있는데, 이 세 우물의 물을 먹으며 물푸레나무는 크게 잘 자라 가지를 우주 공간에 넓게 펼쳤다.

그 나뭇가지에는 4마리의 사슴이 뛰어다니며 동서남북의 바람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그 나뭇가지 안에 황금의 궁전을 지어 오딘은 거기 살며세상을 바라보고 있는데, 오딘의 어깨 위에는 두 마리의 까마귀가 매일 이 세계를 오가며 본 일들을 모두 오딘에게 고해바치고, 오딘의 발아래에는 2마리의 이리가 앉아서 세상 사람들이 오딘에게 바치는 모든 제물을 모두 받아먹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오딘은 우주 목판에 있는 물푸레나무 궁전에 앉아서 영원히 죽지 않으며 우주를 지배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출처 : (블로그)오마쥬가든

 

다섯번째로는 우리나라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옛날 조상들은 학업을 소홀히 하거나 사람으로서 바른 도리를 지키지 못한 아이들에게는 물푸레나무나 싸리나무로 엄한 벌을 내렸다고 한다.

물푸레나무 회초리로 인해 태만하지 않고 열심히 공부해서 과거에 급제한 선비들은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곧 뜰 앞의 물푸레나무에 큰 절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 예종원년(1468년) 12월 24일조, 형조판서 강희맹이 임금께 올린 글에는‘지금 사용하는 몽둥이는 그 크기가 너무 작아 죄인이 참으면서 조금도 사실을 자백하지 않으니, 이제부터 버드나무나 가중나무의 사용을 금하고, 단지 물푸레나무만을 사용하게 하소서’라는 내용이 있다고 한다.

 

옛 서당의 훈장은 물푸레나무나 싸리나무 회초리로 아이들의 게으름을 다스렸으며, 죄인을 신문할 때 몽둥이로도 사용하였다.

눈이 많이 오는 강원도의 산간지방에서는 눈 속에 빠지지 않은 덧신으로서 설피를 만들어 쓰는 재료이기도 했다.

서민에게는 관청에 불려가 매 맞을 때도, 고달픈 삶을 이으려 눈 위를 오갈 때도 애환을 함께 한 나무가 물푸레나무였다.

그리고 송아지 코청을 반달꼴로 휜 물푸레나무로 구멍을 뚫으니 그게 코뚜레다. 나무를 말리지 않아도 쉽게 타므로 땔감으로도 널리 쓰였다고 한다.

출처 : (블로그)오마쥬가든

 

 

 

 

 

 

 

 

 

물푸레나무의 효능으로는

 

항염증, 소염작용 성분인 탄닌, 에스쿨린, 에스콜레틴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위장염, 대장염, 기관지염 치료와 천식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하구요.

 

요산을 배출시켜 통풍으로 생긴 통증을 완화해 주며, 간을 건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녹내장이나 백내장, 결막염, 안구출혈 등 안구질환을 개선시키고 눈을 맑게 해주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또한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특히 여성의 냉증과 대하증, 생리불순, 생리통 등 갖가지 부인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고 입덧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몸이 너무 차갑거나 또는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신 분들의 경우에는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1

공업용,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나무 껍질을 풍습, 해열, 간질, 안질, 출혈, 고미건위(쓴것이 위를 좋게 한다), 소염 등에 약으로 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2

6월경 꽃이 피었을 때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 말려 여기에 감초를 약간 넣어서 달인 것을 먹으면 부인병과 입덧에 효과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3

한방에서는 나무 껍질을 진피라 한다.

약효는 수렴 제열(열을 제거하는 효능)의 약이다.

소염, 해열약으로 장염 설사, 이질, 안과약으로 결막염, 풍안(눈에 충혈이나 아픔은 없고 다만 가렵고 눈물이 나오는 데 바람을 쐬면 더 심해지는 증상) 누출과 눈의 백록(白錄)과 내장(內瘴)을 치료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4

여성의 붕중(여성의 부정기 자궁출혈)이나 대하, 냉증과 어린 아이의 경기에도 특효약으로 쓰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