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습진 12

가슴 답답함을 없애고 상처를 아물게하여 새살을 돋게 하는 석고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⑩ 광물류(鑛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

해독 및 살충, 피부 가려움증을 멎게 하고 피부 괴사를 치료하는 백반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⑩ 광물류(鑛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

두드러기, 알레르기, 신경성 피부염증, 가려움증, 기침, 백일해에 좋은 한방약술 백부주

② 오장(오행)에 좋은 술 폐(金)에 좋은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백부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백부(파부초), 감초(국로) * 특징 : 두드러기, 알레르기, 신경성 피부염..

사지마비나 근육경련에 좋고 습진과 중풍에도 좋은 술인 태양인 한방약술 솔잎주

① 사상체질에 맞는 술 태양인을 위한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솔잎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솔잎 * 특징 : 사지마비, 근육경련, 습진, 중풍에 좋은 술 * 효능 : 신경통..

신경 재활을 촉진시키고 유방염, 피부염, 비염을 낫게하는 사과락(수세미오이) 약초처방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포스팅에서 하나하나 소개를 드렸었는데요. 최근에 한의사 안덕균 교수가 전하는 한국의 약초와 놀라운 효능을 담은 약초처방 가이드가 발간이 되어 알아 두면 일상생활속에서 활용이 가능한 부분이 많을 것 같아 전에 소개드린 내용과 같이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자금부터 약초의 놀라운 효능과 약초처방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소개할 약초는 사과락(수세미오이)입니다. 약초처방에 대해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개해 드리는 약초에 대해 살펴보고 난 후 생활속에서의 약초처방은 어떻게 하는지를 보면 좋을 듯 하네요. 오늘 소개하는 약초에 대한 사전지식을 먼저 알아볼까요? 숙취에 좋고 두통을 다스리며 피부..

강장·강정약으로 효과가 뛰어나며 임질·부인병에 특효약인 으름난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강장, 강정, 임질, 치통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강장이란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을 도와 체력을 증진시켜 몸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을 말하고, 강정은 정(精)을 강하게 하는 효능을 말하며, 임질은 임균(Neisseria gonorrhoeae) 감염에 의하여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으름난초입니다. * 과명 : 난초과 * 학명 : Galeola septentrionalis REICHB, fil. * 약명 : 토통초(土通草) * 이명 : 산산호, 토목통, 으름난, 개천마..

종기나 부스럼, 습진, 화상 등 피부병 치료에 탁월한 소리쟁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피부병의 묘약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피부병이란 피부질환이라고도 하며,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소리쟁이입니다. * 과명 : 마디풀과 * 학명 : Rumex japonicus HOUTT. * 약명 : 양제(羊蹄), 양제근(羊蹄根) * 이명 : 우설초, 우설채, 패독채, 금교맥, 양제초, 소루쟁이, 참소루쟁이, 솔구지, 소로지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소리쟁이는 햇볕이 잘 드는 들판이나 밭, 공터 등 약간 습기가 많은 장소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곧게 자라 키 40~100cm 정도가 되고, 잎..

습진을 치료하고 피부병에 효과 좋은 밤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습진, 피부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습진이란 외부로부터의 기계적·물리적·화학적 자극, 체내로부터 피부에 작용하는 약물·음식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가려움, 홍반, 부종과 진물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을 말하고, 피부병은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을 말하며, 피부질환이라고 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밤나무입니다. * 과명 : 참나무과(Fagaceae) * 학명 : Castanea crenata * 약명 : 건율(乾栗), 율(栗) * 이명 : 율목, 율자, 원치율, 율자수, 율수, 밤, 밤..

기침을 멈추게 하고 습진에도 좋은 떡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진해제, 습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진해제란 기침을 완화시키거나 억제하는 약물을 말하고, 습진은 외부로부터의 기계적·물리적·화학적 자극, 체내로부터 피부에 작용하는 약물·음식물 등이 가해져서 생기는 피부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의미하며, 가려움, 홍반, 부종과 진물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떡쑥입니다.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학명 : Gnaphalium affine D. DON. * 약명 : 서국초(鼠麴草) * 이명 : 불이초, 과노서, 서곡초, 야국, 서곡, 무심초, 서국초, 왜떡..

통풍과 체한 것을 내리는 꽈리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통풍, 돼지고기를 먹고 체한 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통풍은 관절 내 공간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말하고, 체는 먹은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 증상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꽈리입니다. * 과명 : 가지과(Solanaceae) * 학명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i * 약명 : 산장초(酸漿草), 산장근(酸漿根) * 이명 : 등룡초, 왕모주, 홍고랑, 홍랑자, 산장, 금등룡, 야호초, 수분자, 꼬아리, 괘금동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꽈리는 마을 근처에 저절로 자라거나 심어서 기르는 여러해살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