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스럼 12

부스럼, 부종, 사마귀 치료에 좋은 민간요법

증상별 민간요법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민간요법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 속에서 터득한 지식이 집대성된 정보이며, 대부분의 경우 부작용이 없고 우리 산야와 주변에서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고 또한 이용방법도 간편한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이번 블로그를 통헤서 소개드리고자 하는 것은 농촌진흥청에서 2002년에 발간된 책자 내용으로서 민간요법 중 쉽고 친숙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급용 민간요법을 기술되었는데 현대의학적인 약효, 성분에 대한 부분은 생략이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응급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식물을 흔한 식물종으로 선택하였으며, 보편적으로 독성, 중독성이 없는 식물을 취하였으나 한시적인 응급처방임을 밝혀두는 바 장시간 지속적인 복용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합니다. 오늘 소개할..

몸의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항염증 작용을 하는 인동덩굴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감기 초기에 소화장애, 설사, 부스럼, 궤양, 저혈압일 때 좋은 한방약술 총주음

② 오장(오행)에 좋은 술 폐(金)에 좋은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총주음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총백(파의 연백부) * 특징 : 감기 초기에 소화장애, 설사, 부스럼, 궤양..

각기병의 묘약이면서 부종과 수종으로 몸이 붓는 것을 다스리는 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각기, 부종, 수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각기란 비타민B1의 결핍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환이며,먼저 다리가 나무처럼 뻣뻣하고 시큰거리며 무르고 약하여 힘이 없고 땅기거나 붓거나 마르거나 열이 나는 것을 말하고, 부종은 체액이 신체 조직의 간질에 축적되어 피부가 부어오르는 현상을 말하며, 수종은 몸 안에 수습(水濕)이 고여 얼굴과 눈, 팔다리, 가슴과 배, 심지어 온몸이 붓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팥입니다. * 과명 : 콩과(Leguminosae) * 학명 : Phaseolus angularis​ * 약명 ..

종기나 부스럼, 습진, 화상 등 피부병 치료에 탁월한 소리쟁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피부병의 묘약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피부병이란 피부질환이라고도 하며,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소리쟁이입니다. * 과명 : 마디풀과 * 학명 : Rumex japonicus HOUTT. * 약명 : 양제(羊蹄), 양제근(羊蹄根) * 이명 : 우설초, 우설채, 패독채, 금교맥, 양제초, 소루쟁이, 참소루쟁이, 솔구지, 소로지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소리쟁이는 햇볕이 잘 드는 들판이나 밭, 공터 등 약간 습기가 많은 장소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곧게 자라 키 40~100cm 정도가 되고, 잎..

뱀이나 벌레 물린데 독을 풀어주는 봉선화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사독, 해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사독이란 독이 있는 뱀의 독샘에서 나오는 독을 모두 일컫는 것을 말하고, 해독은 몸 안이나 몸 겉면에 있는 독을 없애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봉선화입니다. * 과명 : 봉선화과(Balsaminaceae) * 학명 : Impatiens balsamina * 약명 : 급성자(急性子) * 이명 : 금봉화, 지갑초, 소도홍, 등잔화, 칠품삼병, 봉황죽, 투골추, 봉숭아, 봉사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봉선화는 성장이 빠르고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기장원예, 학습, ..

피부 부스럼에 좋은 꿩의비름 효능 및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부스럼, 종기, 땀띠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부스럼은 피부에 나는 종기를 일컫는 말로 목, 얼굴, 겨드랑이, 엉덩이 부위 같이 마찰이 많이 되거나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종기는 피부의 털구멍 따위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을 말하며, 땀띠는 과도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붉은색의 작은 수포성 발진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꿩의비름입니다. * 과명 : 돌나무과 * 학명 :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 약명 : 경천초(景天草) * 이명 : 신화, 신화초, 대엽경천..

풍과 부스럼을 다스리는 고수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구풍, 독창, 이질, 해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구풍(驅風)은 인체내에 침입한 풍을 없애는 효능을 말하고, 독창은 머리에 헌데가 생겨 머리카락이 끊기거나 빠지는 병증을 말하며, 이질은 이질균 감염에 의해 급성 염증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고 해독은 생체 내의 세포에서 유독한 물질을 무독한 물질로 바꾸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수입니다. *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 학명 : Coriandrum sativum * 약명 : 호유자(胡荽子) * 이명 : 향유, 천초, 향채자, 호유실, 원유자, 고수풀, 빈대풀 출처 : 한국의 산..

중풍 반신불수에 좋은 개구리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중풍에 의한 반신불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중풍은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개구리밥입니다. * 과명 : 개구리밥과(Lemnaceae) * 학명 : Spirodela polyrhiza * 약명 : 부평초, 자배, 수평 * 이명 : 평초, 자평, 자배부평, 다근부평, 머구리밥, 개고리밥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개구리밥은 물 속에서 자라면서 오염된 물을 맑게 해주는 정수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느곳에서나 볼 수 있으며, 관상용으로도 키우기도 하고 한방..

두통과 부스럼에 좋은 감국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풍열두통, 부인유종, 부인음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풍열두통(風熱頭痛)은 두통의 하나로 풍열사(風熱邪)가 위로 치밀어서 생긴 증상을 말하는데, 풍열로 인한 경우는 번민(煩悶)이 생기고 입안이 쓰며 손과 발에 열이 나고 소변이 누렇거나 붉으며 심하면 발작하고 편안하게 잠을 자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또한 얼굴이 붉어지고 목이 뻣뻣하며 어지러운 증상이 동반하는 경우 현대적으로 고혈압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남. 부인유종(婦人乳腫)은 부인의 유방이 붓는 병증을 말하며, 부인음종(婦人陰腫)은 부인의 음부가 붓고 통증이 동반되는 증상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