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초 효능과 민간요법 238

요통, 수종, 부종에 좋은 고비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요통, 수종, 임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요통은 허리 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하고, 수종은 신체 조직안에 림프액 또는 장액 따위가 많이 괴어 있어 몸이 붓는 병을 말하며, 임질은 임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며, 남성은 요도염 · 부고환염 · 전립샘염을, 여성은 요도염 · 질염 · 자궁내막염 · 난관샘염 · 복막염 등을 일으켜서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비입니다. * 과명 : 고비과 * 학명 : Osmunda japonica * 약명 : 구자궐(球子蕨) * 이명 : 미궐, 미채, 구척, 자기, 고비나물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고비는 우리..

감기와 만성 위궤양에 효과 좋은 금감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감기, 인후통, 백일해, 위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인후통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백일해는 백일해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흡"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위병은 위에 생기는 병을 통틀어 가리키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금감입니다. * 과명 : 운향과 * 학명 : Fortunella japonica var. margarita * 약명 : 금감(金柑) * 이명 : 금귤, 동귤, 알귤, 낑깡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금감은 중국을 원산지로 하는 열매이며, 껍질채 ..

천식과 중풍 다스리는 겨울딸기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천식과 중풍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고, 중풍은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겨울딸기입니다. * 과명 : 장미과(Rosaceae) * 학명 : Rubus buergeri Miq. * 약명 : 한매엽, 한매근 * 이명 : 겨울딸, 땅줄딸기, 왕딸, 늘푸른줄딸기, 한탈, 저슬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야생 산딸기의 일종으로 특히 제주도 한라산 중산간 숲속 바닥에 붙어 자라..

중풍 반신불수에 좋은 개구리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중풍에 의한 반신불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중풍은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개구리밥입니다. * 과명 : 개구리밥과(Lemnaceae) * 학명 : Spirodela polyrhiza * 약명 : 부평초, 자배, 수평 * 이명 : 평초, 자평, 자배부평, 다근부평, 머구리밥, 개고리밥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개구리밥은 물 속에서 자라면서 오염된 물을 맑게 해주는 정수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느곳에서나 볼 수 있으며, 관상용으로도 키우기도 하고 한방..

신장병과 악성종기에 특효가 있는 개오동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장병, 악성 종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은 신장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되는 질병을 말하고, 악성종기는 고치기 어렵거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한 종기를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개오동입니다. * 과명 : 능소화과(Bignoniaceae) * 학명 : Catalpa ovata * 약명 : 자백피(梓白皮), 목각두(木角豆), 노관취(老鸛嘴) * 이명 : 목왕, 가오동, 취오동, 자목, 노나무, 향오동, 자수, 화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개오동은 예로부터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라 하여 신성시 했으며, 이 나무가 집안에 있으면 천둥이 심해도 다른 재목이 ..

위와 십이지장궤양에 좋은 감자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위궤양, 십이지양궤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위궤양은 위산과 펩신의 공격으로 위장 점막의 결손이 발생하여 손상이 있는 상태를 말하고, 십이지장궤양은 십이지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손상되어 조직학적으로 괴사된 결손이 점막하층 이하까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감자입니다. * 과명 : 가지과(Solanaceae) * 학명 : Solanum tuberosum L. * 약명 : 양우(洋芋) * 이명 : 마령서, 북감저, 북저, 지두자, 토두, 양산우, 번우, 향우, 하지감자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감..

맹장염, 파상풍, 식중독에 좋은 가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맹장염, 파상풍, 버섯 중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맹장염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파상풍은 비 위생적인 환경의 흙, 먼지, 동물의 변 등에 존재하는 파상풍균에 의해 감염이 되고, 녹슨 못, 칼 등에 상처를 입었을 때도 감염이 된다고 하며, 버섯 중독은 독이 있는 버섯을 먹어서 생기는 식중독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가지입니다. * 과명 : 가지과(Solanaceae) * 학명 : Solanum melongena * 약명 : 가자(茄子) * 이명 : 까지, 황가, 과채, 자가, 왜과 출처 : 한국의 산..

위에 좋고 강장제로 쓰이는 고삼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건위, 강장, 회충 구제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건위는 심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는 것을 말하고, 강장은 심신이 튼튼하고 기력이 왕성하게 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삼입니다. * 과명 : 콩과 * 학명 : Sophora flavescens AIT * 약명 : 고삼(苦蔘), 고골(苦骨), 야괴(野槐) * 이명 : 너삼, 쓴너삼, 넓은잎너삼, 지삼, 도둑놈의 지팡이, 교괴(驕槐), 녹백(祿白), 뱀의정자나무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고삼은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잘 자라고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 빛을 낸다고 하네요.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

불로 장수의 영약 구기자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불로 장수의 영약, 강장약, 정력 증진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강장은 심신이 튼튼하고 기력이 왕성함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구기자입니다. * 과명 : 가지과 * 학명 : Lycium chinense Mill. * 약명 :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구기(枸杞) * 이명 : 구기, 구기엽, 구내자, 구유자, 구기자, 구계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구기자나무의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열매는 단맛이 있어서 먹을 수 있으며, 열매와 뿌리껍질은 약재로 쓰입니다. 국내 분포하는 가지과 식물중에 유일한 목본으로 집과 길가에 심기도 하며, 들과 산비탈에 자생한다고 ..

중풍과 독충 물린데 좋은 감나무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중풍, 독충에 물렸을 때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중풍은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괘사, 반신불수, 언어 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감나무입니다. * 과명 : 감나무과(Ebenaceae) * 학명 : Diospyros kaki * 약명 : 시(枾), 시체(枾蒂 : 감꼭지) * 이명 : 침시, 곶시, 두시, 시자수, 유시자, 홍시, 감, 오시, 땡감, 홍시감, 물렁감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감나무 하면 여러분은 어떤 생각부터 떠올릴까요? 어릴적 고향 또는 시골을 생각하게 만드는데, 감은 상태에 따라 여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