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초 효능과 민간요법 238

몸이 쇠약할 때, 강장제로 탁월한 대추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완화제, 강장제, 몸이 쇠약할 때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완화제란 피부의 상처를 낫게 하고 부드럽게 하는 약을 말하고, 강장제는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을 도와 체력을 증진시켜 몸을 튼튼하게 하는 약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대추입니다. * 과명 : 갈매나무과 * 학명 : Ziziphus jujuba var. inermis * 약명 : 조인(棗仁), 대조(大棗), 산조인(酸棗仁) * 이명 : 조목, 건조, 백조아, 홍조, 홍조아, 홍조인, 백조, 밀조, 우두, 양조, 마조, 단조, 대추나무, 녀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대..

신장병, 폐병, 수종에 효과 좋은 당근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장병, 폐병, 수종, 정력 증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이란 신장(콩팥)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을 말하고, 폐병은 기침이 나고 가래가 많으며 숨이 차고 가슴이 아프며 혹은 오한 발열이 있고 코가 메거나 콧물을 흘리며 객혈이 있고 목이 쉬며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는 폐질환을 말하며, 수종은 복부와 가슴 부분의 장기를 덮고 있는 막인 복막 내에 지속적으로 체액 저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당근입니다. *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 학명 : Daucus carota subsp. sativa * 약명 : 호라복(..

당뇨병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닭의장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당뇨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닭의장풀입니다. *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 학명 : Commelina communis * 약명 : 압척초(鴨跖草) * 이명 : 압식초, 수부초, 압자채, 능각산, 야적초, 로초, 복채, 쇠불사, 계관채, 닭개비, 달래개비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닭의장풀은 우리 나라와 만주 여러 지역의 산야, 전원, 길가 등의 습기찬 곳에 잘 자라는 잡..

정력증진과 강장제로 효과 있는 달래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정력증진, 강장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강장제란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을 도와 체력을 증진시켜 몸을 튼튼하게 하는 약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달래입니다. * 과명 : 백합과(Liliaceae) * 학명 : Allium monanthum Maxim. * 약명 : 소산(小蒜 ) * 이명 : 야산, 소근채, 소훈채, 산달래, 달내, 산마늘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달래는 주로 봄에 나물로 무쳐 먹으며 달래 간장을 만들어 부추 대용으로 쓰기도 히고 된장찌게에 맨 마지막에 넣어서 먹으면 향긋한 봄의 맛을 즐길 수 있다고 하구요. 맛이 매콤하고 향긋해서 봄나물로..

신장병과 이뇨작용에 좋은 다래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장병, 이뇨작용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은 신장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병을 말하고, 이뇨작용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다래입니다. * 과명 :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 학명 :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 약명 : 미후도(獼猴桃) * 이명 : 영조, 이조, 등리, 양도, 목통, 야양도, 공양도, 귀도, 모리자, 홍등리, 다래나무, 미호도, 참다래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다래는 예로부터 우리 나라 사람들의 기호 식품이었으며, 도시와 시골의 상점 또는 시..

고혈압, 치질, 지혈에 효과 좋은 느티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고혈압, 치질, 지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고혈압은 혈압이 정상치 보다 높은 것을 뜻하는데,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하고, 치질은 직장 하단, 항문, 항문 주위 조직에 생기는 병을 말하며, 지혈은 나오던 피를 멈추게 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느티나무입니다. * 과명 : 느릅나무과(Ulmaceae) * 학명 : Zelkova serrata * 약명 : 괴목(槐木) * 이명 : 규목, 홍주수, 대엽수, 들메나무, 정자나무, 귀목, 들매나무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느티나무는 우리나라 ..

독충 물린데, 폐병, 늑막염에 효과 좋은 노루발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독충에 물린데, 늑막염, 각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늑막염은 늑막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기침과 가래가 심해지며, 발열, 오한, 권태감 등이 생길 수 있는 것을 말하고, 각기는 비타민 비 원(B1)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영양실조 증상으로 말초 신경에 장애가 생겨 다리가 붓고 마비되며 전신 권태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노루발풀입니다. * 과명 : 노루발풀과 * 학명 : Pyrola japonica * 약명 : 녹제초(鹿蹄草) * 이명 : 녹함초, 분홍노루말풀, 파혈단, 노루발 출처 : 한국..

피를 멈추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냉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지혈, 간기, 청맹, 목통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지혈(止血)은 상처로 인해 나오던 피를 멈추게 하는 것을 말하고, 간기(肝氣)는 간의 정기를 뜻하는 것이고, 간의 정기는 눈에 통해 있으므로 간기가 고르면 눈이 잘보인다고 하며, 청맹(靑盲)은 점차 눈이 잘 보이지 않아 나중에는 빛을 보지 못하고 시력을 잃는 병을 말하고, 목통(目痛)은 눈이 아픈 병증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냉이입니다. *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 학명 : Capsella burapastoris * 약명 : 제채(薺菜) * 이명 : 대제, 지인채, 사제, 낭랑지갑, 골..

이뇨와 독충 물린데 효과 있는 나팔꽃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이뇨, 독충에 물린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을 말하고, 독충은 독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해를 입히는 곤충 또는 동물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나팔꽃입니다. *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 학명 : Pharbitis nil * 약명 : 견우자(牽牛子), 흑축(黑丑), 백축(白丑) * 이명 : 견우화, 조안화, 라발화. 조일화, 견우랑, 일엽견우, 흑백축, 나발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나팔꽃은 많은 분들이 아실만한 꽃이죠. 가을이면 우리 곁에 찾아오는 보라색 빛깔이 너무 예쁜 ..

피부 부스럼에 좋은 꿩의비름 효능 및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부스럼, 종기, 땀띠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부스럼은 피부에 나는 종기를 일컫는 말로 목, 얼굴, 겨드랑이, 엉덩이 부위 같이 마찰이 많이 되거나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종기는 피부의 털구멍 따위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을 말하며, 땀띠는 과도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붉은색의 작은 수포성 발진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꿩의비름입니다. * 과명 : 돌나무과 * 학명 :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 약명 : 경천초(景天草) * 이명 : 신화, 신화초, 대엽경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