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농산물 건강레시피
맹글엉 먹어봅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현대화가 될수록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신선하고 몸에 이로운 식재료와 정성이 담긴 음식에 대한 호감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선한 로컬 식재료에 정성 가득한 손맛이 더해지면 이것이 바로 우리가 생각하는 보약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 제주 서부지역의 농산물을 제대로 알리고 로컬푸드를 활용한 건강한 음식문화 확산과 소비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쉽게 활용 가능한 지역농산물 활용 음식 레시피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블로그 내용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올바른 식재료를 구매 활용하는 착한 소비자가 늘어나고 건강한 식단을 만들어 음식을 나누며 청정 제주 로컬푸드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제주농업기술원의 마음을 담아 제주농산물 건강레시피를 하나씩 정성스럽게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고치 맹글엉 먹어보카마씨?

오늘 소개할 건강 레시피는 양파리조토입니다.
양파는 그냥 오래 볶기만 해도 맛있는 조미료 역할을 할 수 있다.
양파를 캐러멜색이 날 때까지 볶다가 쌀을 넣고 리조토를 만들거나 밥을 지어보자.
반찬이 없어도 든든한 영양만점 일품요리를 만들 수 있다.

< 재료 >
양파(중) 3개, 당근 1/6개, 마늘 2톨, 베이컨 2줄, 쌀 2컵, 올리브유 2큰 술, 간장 1큰 술, 치킨스톡 2컵, 우유 1컵, 파마산 치즈 적당량

ⓛ 양파와 당근, 마늘, 베이컨 모두 곱게 채 썬다
② 쌀은 잘 씻어 불리지 않고 바로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③ 달군 팬에 올리브유를 두르고 양파, 당근, 마늘을 넣고 중불에서 간장과 물을 조금씩 넣어가며 캐러멜색이
날 때까지 볶는다
④ ③에 쌀을 넣고 볶은 뒤 치킨스톡과 우유를 섞어 조금씩 부어가며 심이 살짝 씹힐 때까지 볶아 그릇에 담고
파마산 치즈를 듬뿍 갈아 올린다
< 요리 Tip >
리조토를 만들 때는 쌀을 불리지 않아야 쌀의 식감이 느껴지게 익힐 수 있다 .
불 앞에 서서 쌀을 젓는 것이 귀찮다면 밥통에 넣고 백미쾌속 기능으로 익혀 준다.

양파(Onion)
우리 음식의 대표적인 양념채소 중 하나인 양파는 수분이 전체의 90%를 차지하지만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C, 칼슘, 인, 철 등의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매운맛이 주를 이루지만 열을 가하면 설탕의 50배의 단맛을 가지고 있는 성분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양파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위장기능을 강화시키며 체력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양파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며 심장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하여 성인병 예방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생양파를 먹고 나면 입안에서 특유의 냄새가 나서 생양파 먹기를 꺼리는 경우가 많으며, 양파를 먹고 난 뒤 김 한 장이나 다시마 한 조각을 먹으면 양파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또 그릇에 양파 냄새가 배었을 때는 겨잣가루로 닦으면 없어진다.
양파의 종류로는 해가 길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재배되는 품종이 조생종, 긴해와 높은 온도에서 재배되는 품종이 만생종이다.
양파라고 모두 매운맛만 나는 것은 아니다.
크게 단 양파와 매운 양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확이 빠른 조생양파는 단맛이 강하고 저장용 양파는 매운맛이 강한 경향이 있다.
'건강레시피 > 제주농산물 건강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맞게 익은 양파와 소의 조화가 매우 색다르고 고급스러운 양파소박이전 (2) | 2023.02.02 |
---|---|
중국식당 인기메뉴 튀김요리 양파멘보샤 (4) | 2023.02.01 |
양파가 꽃처럼 피어난 튀김이라서 블루밍 어니언이라고 불리는 양파꽃튀김 (0) | 2023.01.30 |
마늘크림페이스트와 크림치즈소스를 곁들인 마늘토스트 (0) | 2023.01.29 |
신선한 쇠고기와 풋마늘대가 들어간 별미 요리인 풋마늘대소금불고기 (0)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