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⑩ 광물류(鑛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대자석입니다.
대자석은 산화물광물 적철석으로 삼산화이철수화물을 주로 함유하고 채굴한 후 잡석을 제거하는데, 약재는 종홍색이고 단면이 중첩된 층 모양을 띠며 "정두(못)"가 있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대자석>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부수어 빻은 다음 건조한 곳에두고 먼지를 방지한다.
<초쉬대자석>
① 깨끗한 대자석의 부서진 덩어리를 ㅈㄱ당한 용기에 넣고 강한 불로 가열하여 새빨갛게 태운 후 꺼내어 초쉬(식초에 담금)하여 잘 부서지게 하는데, 이렇게 반복적으로 하쉬를 수차례 하여 전부 잘 부서질 때까지 한 다음 꺼내어 건조하고 고운 가루로 빻는다.
② 그 다음 건조한 곳에 두고 먼지를 방지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대자석>
① 고운 가루 형태로 종홍색 혹은 심종색이며 무게가 무겁고 냄새가 약하며 맛이 담백하다.
② 생품은 쓰고 차며 질이 중해서 기를 내려 간을 화평하게 다스리는 요약이다. 간기의 역행을 눌러 간을 다스리며, 위기를 내려 구역을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폐기를 내려 천식을 다스릴 수 있다. 화를 식히고 기를 내리게할 경우에는 흔히 생용한다. 따라서 현훈(어지러움), 이명(귀울림), 구토, 애역, 천식 등의 병증을 치료할 때 많이 활용한다.
<초쉬대자석>
① 형태는 대자석과 비슷하며 암갈색 혹은 암홍종색이고 질이 성기며 약간 식초냄새가 난다.
② 화화 및 초쉬한 후에는 분쇄와 성분의 전출이 쉬우며 또한 쓰고 찬 성질이 완화되고 약을 간경혈분으로 이끌어 간혈을 보하여 간을 화평하게 하며, 새어나가는 것을 막으므로 출혈을 멎게 하는 효능을 증강시킨다. 따라서 지혈시킬 목적으로는 흔히 초대자석을 사용한다. 주로 창상출혈, 초혈, 뉵혈, 객혈, 장풍혈리(치질로 인하여 대변에 혈액이 섞여서 나오거나 혈액이 단독으로 나오는 증상), 붕루하혈 등의 혈열로 인한 각 출혈증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독 및 살충, 피부 가려움증을 멎게 하고 피부 괴사를 치료하는 백반 약재 포제법 (2) | 2023.11.14 |
---|---|
구강과 안과 질환의 외용약으로 많이 활용하는 망초 약재 포제법 (2) | 2023.11.13 |
종기를 치료해 새살을 돋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노감석 약재 포제법 (0) | 2023.11.11 |
출혈을 멎게 하고 어혈을 없애는 혈여탄 약재 포제법 (0) | 2023.11.10 |
발기부전과 불임, 허리와 무릎 통증에 좋은 해구신 약재 포제법 (2)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