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한약재 포제법

허리와 다리가 아프거나 발과 무릎에 힘이 없는 증상에 좋은 속단 약재 포제법

자연사랑꾼 2023. 6. 12. 04:00
728x90
반응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속단입니다.

 

속단은 산토끼꽃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인 천속단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뿌리머리와 끝부분 및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약한 불에 말려 건조하는데 식물명이 속단(꿀풀과)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에디

 

 

 

<약재(약초) 포제방법>

 

츌처 : (블로그)잔대

 

<속단>

ⓛ 원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부드러워지면 조각이나 단으로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초속단>

ⓛ 속단을 용기에 넣고 황색이 되도록 볶아서 건조시킨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염속단>

ⓛ 소금을 0.5~0.6kg의 깨끗한 물에 녹여서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에 붓고 잘 섞은 다음 소금물이 웬만큼 흡수되면 솥에 넣은 다음 약한 불로 볶아 말리고 꺼내어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속단 6kg당 소금 1.2kg을 사용한다.

 

<주속단>

ⓛ 술을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에 붓고 잘 섞어서 술이 웬만큼 흡수되면 솥에 넣고 약한 불로 볶아서 약간 말랐을 때 꺼내어 식힌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속단 6kg당 황주 0.9kg을 사용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속단>

①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은 그 겉표면이 거칠고 고랑같은 무늬가 있으며 중심부는 약간 흑록색을 띠고 황색의 꽃무늬가 있으며, 질은 질기고 맛은 쓰며 약간 달면서 끝맛이 떫다.

② 생품은 간 신장을 보하고 근육과 뼈를 강화하며 혈맥을 통하게 하는 효능에 치우치므로 간신허약으로 혈맥이 불리하여 요퇴산통(허리와 넓적다리가 시리고 아픔), 족슬무력(발과 무릎에 힘이 없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많이 할용한다.

 

<초속단>

① 형태는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과 같고 약간 구수한 냄새가 난다.

② 초하면 작용이 지혈에 치우치므로 간신허약으로 인한 붕루하혈(자궁출혈로 인해 피가 아래로 나옴), 태동누혈(태아가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외음부에서 출혈 증상이 있는 병증)에 많이 활용한다.

 

<염속단>

① 형태는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과 같고 황흑색을 띠며 맛은 약간 짜다.

② 염자하면 약성을 하행시켜 간 신장을 보하는 작용을 증강시키므로 간신허약으로 인한 요슬산연(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주속단>

① 형태는 속단 조각이나 속단 단과 같고 겉표면이 약간 흑색을 띠며 중심부는 회갈색을 띠고 술 냄새가 난다.

② 주자하면 행혈을 활발하게 하고 맥락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생속단에 비해 증강되므로 간신허약으로 경락이 통하지 않아 요퇴산통, 근골구련(근골이 땅기고 오그라져서 구부리거나 펼 수 없는 병증), 마목(마비), 질타손상(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손상당한 것), 좌상유상(연부조직 및 인대 손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많이 활용한다.

 

<약재(약초) 활용>

 

약재(약초) 특징과 효능, 포제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 소개한 약재(약초)는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두면 좋을 듯 하여 전에 포스팅한 내용도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https://kyk0001.tistory.com/772

 

근 골격을 강화하고 허리와 다리 근육통을 완화시키며 골다공증에 좋은 한방약술 청아보주

② 오장(오행)에 좋은 술 신장(水)에 좋은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

kyk0001.tistory.com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명시된 포제법 용어 설명

 

1. 초(炒)

한약재를 볶는 것으로 온도와 시간 및 볶는 정도에 주의하여야 한다.

볶을 때는 화력을 고르게 하고 쉴새없이 저어 열을 고르게 받게 하여야 한다.

 

(1) 청초(淸炒) : 문화(文火 : 불꽃이 약한 불) 또는 무화(武火: 불꽃이 강한 불)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한약재를 볶는 방법이다.

- 초황(炒黃) : 한약재를 용기에 넣고 문화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볶는다.

- 초초(炒焦) : 한약재를 용기에 넣고 무화로 바깥면이 갈색이 되도록 볶고, 절단면의 색이 짙게 변하게 하거나 규정된 정도까지 볶는다. 볶을 때 쉽게 타는 한약재는 맑은 물을 약간 품어서 다시 볶으면서 말리거나 햇볕에 건조한다.

- 초탄(炒炭) : 한약재를 용기에 넣고 무화로서 겉면이 검게 탄 색 또는 속이 탄 황색이 될 때까지 규정된 정도까지 볶아서 맑은 물을 품어 적시어낸 다음 말린다.

 

(2) 보료초(輔料炒) : 고체 보조재료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일정한 정도로 되면 한약재를 넣고 함께 볶은 다음 보조재료를 걸러 버리는 방법이다.

- 부초(麩炒) : 밀기울 껍질을 가지고 미리 뜨겁게 데운 용기에 넣고 연기가 날 때까지 가열하여 한약재를 넣고 빠르게 저어 바깥면이 황색이 되거나 또는 짙은 색으로 변할 때까지 볶아서 꺼내어 밀기울을 버리고 식힌다. 다른 규정이 있는 이외에는 100 kg의 약재에 밀기울 5 ∼ 10 kg을 쓴다

 

2. 자(炙)

한약재를 일정량의 액체 보조재료와 함께 볶아 보조재료가 약물조직 내에 스며들게 하는 방법이다.

 

(1) 주자(酒炙) :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일반적으로 발효주의 위의 맑은 액(이하 ‘술’이라고 한다)을 사용한다. 한약재에 술을 넣어 섞어 용기속에서 문화로 규정된 정도로 볶아서 식힌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한약재 100 kg에 대하여 술 10 ∼ 15 kg을 사용한다.

 

(2) 초자(醋炙) :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일반적으로 양조식초를 사용한다. 한약재에 식초를 넣고 고르게 섞어 규정된 정도까지 볶아서 식힌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00 kg의 한약재에 10 ∼ 15 kg의 식초를 사용한다.

 

(3) 염자(鹽炙) : 먼저 식염을 적당한 양의 물에 용해한 다음 여과하여 사용한다. 약재에 소금물을 고르게 섞거나 또는 고르게 품어 용기에 넣고 문화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볶아서 식힌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00 kg의 한약재에 소금 2 kg을 사용한다.

 

(4)강자(薑炙) ; 먼저 생강을 찧어서 적당량의 물을 넣고 눌러 짜서 즙액을 취하여 강즙(薑汁)을 만든다. 또는 생강을 절구에 찧어서 2 번에 걸쳐 끓여 즙액을 만든다. 한약재에 생강즙을 섞어 용기에 담아 문화로 생강즙이 다 흡수되거나 규정된 정도에 이를 때까지 볶아서 실온에서 말린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00 kg의 한약재에 생강 10 kg을 사용한다.

 

(5) 밀자(蜜炙) : 먼저 꿀을 적당량의 더운물에 희석한 다음 여기에 한약재를 담갔다가, 문화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볶아서 건조한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00 kg의 한약재에 꿀 25 ∼ 30 kg을 사용한다.

 

3. 자(煮)

한약재 각 품목의 포제규정에 따라 액체보조재료를 첨가하여 보조재료가 완전히 흡수되거나 한약재를 절단하였을 때 속에 흰색이 없을 때까지 삶아서 건조한다. 독성이 있는 한약재는 삶은 다음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일반적으로 남은 즙액은 버려야 한다.

 

4. 돈(炖)

한약재 각 품목의 포제규정에 따라 액체 보조재료를 적당한 용기안에 밀폐하고 수욕에서 가열하든가 수증기로 쪄서 보조재료가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가열하여 말린다.

 

5. 증(蒸)

한약재 각 품목의 포제 규정에 따라 보조재료를 넣고 섞어서 (또는 보조재료를 넣지 않음) 적당한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찌거나,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쪄서 말린다.

 

(1) 주증(酒蒸) : 한약재에 술을 넣어 고르게 섞고 상술한 증법(蒸法)에 따라 포제한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한약재 100 kg에 술 20 ∼ 30 kg을 사용한다.

 

6. 탕(燙)

깨끗한 모래, 합분(蛤粉), 활석(滑石) 등의 보조재료를 사용한다. 모래(합분, 활석)를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뜨겁게 하고 한약재를 넣고 계속하여 저어가면서 규정된 정도까지 되었을 때 꺼내어 체로 모래(합분, 활석)를 쳐내어 식힌다.

 

7. 단(煅)

불에 붉게 달구는 정도를 주의하여야 하고 부드럽고 쉽게 부서지게 하여야 한다. 한약재를 먼저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연기가 나지 않는 화로(火爐) 또는 적당한 용기속에서 붉게 되고자 할 때 꺼내어 식히거나 붉게 달군 즉시 규정된 액체 보조재료에 담그고 꺼내어 건조시킨 다음 부수거나 약연으로 가루로 한다(煅淬).

 

8. 수비(水飛)

광물류의 한약재를 적당량의 물과 같이 갈고 여기에 물을 넣고 교반하여, 혼탁액을 기울여 따라내고 가라앉는 부분을 다시 위의 방법으로 여러 번 반복하여 현탁액을 모아서 밑에 가라앉은 것을 취하여 건조한다.

 

9. 천(燀)

한약재를 끓는 물속에 넣어 잠깐 저은 다음 꺼낸다. 일부 종자류 한약재는 종피가 벌어져 벗길 수 있을 정도가 되면 꺼내어 찬물에 담근 다음 종피를 제거하고 말린다.

 

10. 외(煨)

한약재를 물에 적신 면이나 종이로 싸서, 또는 기름종이로 균일하게 층층이 나누어놓고 가열처리하거나 약재를 밀기울껍질(麩皮) 속에 묻고 문화로 규정된 정도가 될 때까지 볶는다. 따로 규정이 없는 한 한약재 100 kg에 밀기울껍질 50 kg을 사용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