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해독 16

해독, 살충 및 종기를 치료하고 복통과 설사 증상에도 사용하는 유황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⑩ 광물류(鑛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

해독 및 살충, 가려움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는 대풍자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② 과실종자류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

살충, 해독, 지혈작용이 뛰어나 충을 없애고 출혈을 치료하는 관중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① 뿌리 및 뿌리줄기류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

해열과 해독 작용을 하고 소화기관이 약해 술 분해가 어려운 소음인에게 좋은 한방약술 감초주

① 사상체질에 맞는 술 소음인을 위한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감초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감초(국로) * 특징 : 소화기관이 약해 술 분해가 어려운 소음인에게 좋은 술이다..

해독과 이뇨작용을 하고 몸이 잘 붓는 태음인에게 좋은 한방약술 연엽주

① 사상체질에 맞는 술 태음인을 위한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연엽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연엽(하엽) * 특징 : 습(濕)이 많아 몸이 잘 붓는 태음인에게 좋다 * 효능 ..

코피나 상처가 났을때 지혈제로 좋은 테두리방귀버섯 효능

건강에 유익한 버섯 (땅에 있는 버섯)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버섯은 예로부터 신비스럽고 향과 맛이 독특하여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왔다고 합니다. 신(神)의 식품,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진 버섯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 알아볼까요? 알면 약(藥)이되고 모르면 독(毒)이되는 버섯 오늘은 테두리방귀버섯입니다. * 과명 : 방귀버섯과 * 학명 : Geastrum fimbriatum 출처 : 버섯대사전 테두리방귀버섯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속의 낙엽 사이의 땅 위에서 자란다고 하구요. 자실체는 어릴 때 1.5~4cm 정도이고 처음에는 공모양으로 표면은 연한 적갈색의 미세한 털로 덮여 있다고 하며, 성숙하면 외피 상부의 반이 5~10조각으로 갈라져 마치 별 모양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버섯 ..

가래와 기침을 멎게하고 생선, 게, 육류의 식중독을 풀어주는 차조기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진해, 건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진해란 기침을 진정시키는 효능을 말하고, 건위는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기 위한 처방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 오늘의 약초는 차조기입니다. * 과명 : 꿀풀과 *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약명 : 자소(紫蘇), 자소자(紫蘇子) * 이명 : 야소, 소자, 홍소, 흑소, 자소초, 자주깨, 붉은깨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차조기는 우리나라 여러 지방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기도 하고 밭에 심어 키우기도 하는 약용식물 중의 하나로 들깨의 일종으로 알려..

살균과 진통 효능 뿐만아니라 유선염에도 좋은 산초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유선염, 종기, 타박상, 치통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유선염이란 유선을 비롯한 유방에 생긴 모든 염증을 말하고, 종기는 모낭에 염증이 생겨 노란 고름이 잡히면 모낭염(folliculitis)이라고 하는데, 모낭염이 심해지고 커져서 결절이 생긴 것을 말하며, 타박상은 외부의 충격이나 둔탁한 힘(구타, 넘어짐) 등에 의해 연부 조직과 근육 등에 손상을 입어 피부에 출혈과 부종이 보이는 경우를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산초나무입니다. * 과명 : 운향과(Rutaceae) *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

뱀이나 벌레 물린데 독을 풀어주는 봉선화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사독, 해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사독이란 독이 있는 뱀의 독샘에서 나오는 독을 모두 일컫는 것을 말하고, 해독은 몸 안이나 몸 겉면에 있는 독을 없애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봉선화입니다. * 과명 : 봉선화과(Balsaminaceae) * 학명 : Impatiens balsamina * 약명 : 급성자(急性子) * 이명 : 금봉화, 지갑초, 소도홍, 등잔화, 칠품삼병, 봉황죽, 투골추, 봉숭아, 봉사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봉선화는 성장이 빠르고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기장원예, 학습, ..

기침과 천식을 다스리며 기관지에 좋은 머위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기침병, 천식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 기침병이란 기후가 바뀌는 봄, 가을에 또는 과로하든가 노인과 어린이 같은 저항력이 약한 사람에게 발병하기 쉬운 것을 말하고,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함. ​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 ​ 오늘의 약초는 머위입니다.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학명 : Petasites japonicus * 약명 : 관동화(款冬花) * 이명 : 관동초, 봉두엽, 사두초, 봉즙채, 관동, 머윗대, 머위줄기, 머웃대 출처 : 한국의 산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