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피로회복 28

숙취, 혀 및 목이 아프거나 한기가 들 때 좋은 꿀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신장이 허약한 사람이나 신장병 환자에게 좋은 검정콩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불면증, 신경쇠약, 저혈압에 효과가 있는 한방약술 인삼주

⑥ 나라별 주요 약재로 담근 술 한국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인삼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인삼 * 특징 : 불면증, 신경쇠약, 저혈압에 효과가 있다 * 효능 : 피로회복, 면..

피로회복과 구충에 좋고 쉽게 피곤을 느끼는 소양인에게 좋은 한방약술 오수주

① 사상체질에 맞는 술 소양인을 위한 술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양한 식물을 약초로 사용한 선조들의 지혜는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후손들이 한의학을 한단계 높이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으로서 우리 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는 술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읽고 계신 분들은 한방약술을 빚는데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그리고 원료의 손질방법과 한방약술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한방약술은 오수주입니다.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효능 * 재료 : 인삼, 생지황(지황), 숙지황(지황을 쪄서 말린 것) * 특징 : 쉽게 피곤을 느..

진시황제가 찾던 불로초, 노화방지에 탁월한 구기자 약초이야기

오리엔털 허브스토리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겨있는 동양의 신비로운 약초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오랜 옛날 조상들은 식물, 동물, 광물 등을 이용하여 오랜 기간의 경험으로 스스로 처방을 내렸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었고, 지금도 중요히 사용되고 있는 약초에 얽힌 이야기 하나씩 알아볼까요? 이 이야기는 농촌진흥청에서 오픈된 토종약초에 대한 오리엔털 허브스토리입니다. 오늘 소개할 약초는 구기자입니다. 한·중·일 삼국에서 보는 구기자의 유래 구기자에 관한 이야기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모두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는데, 그만큼 약효가 다양하고 효능이 뛰어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먼저, 우리나라의 기록을 보면 선조대왕과 광해군 때에 어의를 지낸 허준이 쓴 동의보감(..

무더위 여름철을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오미자개미얼음과자

별식 아직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 일반식품원료로 등재가 안 되어 있는 곤충들이지만, 우리들의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매미껍질, 개미, 누에들을 이용한 요리를 소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자연재해, 인구 증가와 환경 파괴로 인하여 식량위기가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면서 이러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곤충을 미래식량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곤충을 미래 식량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먹거리에서 식용곤충에 대한 효능과 어떤 요리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곤충을 일반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거부감이 있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는 곤충에 대한 애칭을 공모하여 친..

차 한잔으로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할 수 있는 고소애대추차

노인들을 위한 곤충요리 식욕이 줄고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노인들에게 알맞도록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질 함량이 적고 소화가 잘되는 요리로 구성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자연재해, 인구 증가와 환경 파괴로 인하여 식량위기가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면서 이러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곤충을 미래식량으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곤충을 미래 식량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건강기능식품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먹거리에서 식용곤충에 대한 효능과 어떤 요리가 있는지 알아볼까요? 곤충을 일반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거부감이 있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서는 곤충에 대한 애칭을 공모하여 친근감 있도록 하였는데..

수종과 적백대하를 다스리고 몸의 열을 내리게 하는 자두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해열, 수종, 적백 대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해열이란 몸에 오른 열을 풀어 내리는 것을 말하고, 수종은 세포간 조직내나 체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대량의 조직액이 저류되는 병변. 수종은 혈액 중의 수분이 대량으로 조직내에 이동했을 때, 혈관 및 림프관 내를 흐르는 조직액의 관류(灌流)가 장애될 때, 조직의 수분 흡착력이 증가했을 때 일어나는데, 수종이 일어나면 조직은 팽창하고 주름은 퍼져 팽팽해지며, 창백·빈혈 상태가 되고 체온도 내려가고 탄력성도 약화되므로 손가락으로 누르면 쑥 들어간 채 복원하는 속도가 더딘 증상을 말하며, 적백대하는 성숙한 여자의 생식기로부터 병적으로 빛이 벌건 피 같은 분비물이 흐르는 데 거기에 흰 이슬이 섞여 나오는 증상을 말함. ..

피로회복과 중풍에 좋고 해열작용으로 일사병을 다스리는 역귀(여뀌)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피로회복, 삭기, 일사병 예방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삭기란 병적으로 느끼는 추운 기운을 말하고, 일사병은 무더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체온이 급격히 상승한 뒤 심하면 저혈압과 혼수상태에 빠져 사망까지 이르는 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역귀입니다. *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 학명 :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 약명 : 요(蓼), 요자(蓼子) * 이명 : 청료, 요화, 요초, 신채, 어독초, 날채, 고채, 당채, 역귀풀, 여뀌, 개여뀌,..

두통에 좋고 노화방지와 성인병 예방에 도움되는 소귀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두통, 피로회복, 노화방지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두통이란 이마에서부터 관자놀이, 후두부, 뒷목 등을 포함하는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피로회복은 몸에 쌓인 피로를 풀어 원래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원래의 상태를 되찾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소귀나무입니다. * 과명 : 소귀나무과(Myricaceae) * 학명 : Myrica rubra (Lour.) Siebold & Zucc. * 약명 : 양매(楊梅), 양매피(楊梅皮) * 이명 : 산도, 화매목, 수양매, 양매엽, 속나무, 양매피, 양매엽유 출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