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천식 51

산전 산후, 허약체질, 천식에 좋은 만삼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부인의 산전 산후, 허약, 천식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허약이란 몸은 크고 살이 쪘지만 근육이 단단하지 않은 물살이고 체격이 약해 보이는 것을 말하고,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만삼입니다. *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 학명 : Codonopsis pilosula * 약명 : 만삼(蔓蔘) * 이명 : 당삼, 태삼, 선초, 엽자채, 삼엽채, 참더덕, 삼성더덕, 좀만삼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만삼은 원산지가 한국인 희귀식물이..

월경불순, 천식, 황달에 좋은 띠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월경불순, 천식, 황달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월경불순이란 월경 주기나 출혈지속일수 및 출혈량 등이 정상 월경의 범위를 넘어선 것을 말하고, 천식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며, 황달은 혈색소(헤모글로빈)와 같이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여 눈의 흰자위(공막)나 피부, 점막 등에 노랗게 착색되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기침을 멈추게 하고 습진에도 좋은 떡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진해제, 습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진해제란 기침을 완화시키거나 억제하는 약물을 말하고, 습진은 외부로부터의 기계적·물리적·화학적 자극, 체내로부터 피부에 작용하는 약물·음식물 등이 가해져서 생기는 피부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의미하며, 가려움, 홍반, 부종과 진물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떡쑥입니다.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학명 : Gnaphalium affine D. DON. * 약명 : 서국초(鼠麴草) * 이명 : 불이초, 과노서, 서곡초, 야국, 서곡, 무심초, 서국초, 왜떡..

자양강장에 좋고 완화제 역할을 하는 둥굴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자양강장, 완화제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자양강장이란 몸의 영양을 붙게 하여 영양불량이나 쇠약을 다스리고 특히 장(臟)의 기운을 돋우며 오장(심, 간, 비, 폐, 신)을 튼튼히 하는 것을 말하고, 완화제는 외부의 자극이나 이물(異物) 때문에 헐거나 다친 피부를 보호하고 건조한 피부에 탄력성을 증가시키거나, 여러 가지 약(藥)의 독을 완화시켜주는 효능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둥굴레입니다. * 과명 : 백합과 * 학명 :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 약명 : 황정..

천식 치료에 효과 좋은 독말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천식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독말풀입니다. * 과명 : 가지과 * 학명 : Datura stramonium var. chalybea * 약명 : 만타라자(曼陀羅子) * 이명 : 만타라, 취심화, 구핵도, 풍가인, 대마자, 야마자, 취선도, 양금화, 독말, 만다라화, 과부꽃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독말풀은 아메리카 원산인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판 또는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잎과 씨에는마취성 독소가 있어서 잘못 먹..

당뇨병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닭의장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당뇨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닭의장풀입니다. *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 학명 : Commelina communis * 약명 : 압척초(鴨跖草) * 이명 : 압식초, 수부초, 압자채, 능각산, 야적초, 로초, 복채, 쇠불사, 계관채, 닭개비, 달래개비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닭의장풀은 우리 나라와 만주 여러 지역의 산야, 전원, 길가 등의 습기찬 곳에 잘 자라는 잡..

천식과 중풍 다스리는 겨울딸기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천식과 중풍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고, 중풍은 뇌혈관의 장애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장애 따위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겨울딸기입니다. * 과명 : 장미과(Rosaceae) * 학명 : Rubus buergeri Miq. * 약명 : 한매엽, 한매근 * 이명 : 겨울딸, 땅줄딸기, 왕딸, 늘푸른줄딸기, 한탈, 저슬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야생 산딸기의 일종으로 특히 제주도 한라산 중산간 숲속 바닥에 붙어 자라..

폐염, 기관지염, 천식, 기침에 효과 좋은 상백피탕 효능과 민간요법

저자는 다년간 이러한 민간요법의 굼벵이니, 지네니 하는 따위의, 어떻게 보면 낡아빠진 자료들을 조사하여 연구하고, 환자들의 진료에도 직접 간접으로 활용을 해 오면서도 그때마다 새삼 느껴지는 바는 어떻게 하면 보배로운 민간요법의 보존과 계승을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밯전시켜 현대의학과도 상충되는 모순점을 다소나마 해소시킬 수 있을까하는 점이었다. - [제주도민간요법] 머리말 中 에서 - 이 포스팅은 제주도민간요법을 소개하는 글이기 때문에 [제주도민간요법(1977, 진태준)]에 있는 내용을 인용하지 않으면 생생하고 실감나는 제주도 민간요법에 대해 설명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 글을 읽는 방문자님과 저자분께 정중히 양해의 말씀을 드리면서 증상에 따른 치료법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민간요법은 말 그..

피부와 천식에 좋은 수세미 효능과 민간요법

음식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①탕류 악창, 진해, 하유, 이뇨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악창(惡瘡)이란 고치기 힘든 부스럼을 의미하고, 진해(鎭咳)라는 것은 기침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하유(下乳)는 출산후 젖이 나오지 않거나 적게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것을 말하고, 이뇨(利尿)라는 것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것을 말함.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상시 먹을 수 있는 음식의 효능을 5개 분야(탕류, 주류, 차류, 이류, 분·엽류)로 분류하여 포스팅을 할께요. 5개 분야 중 첫번째인 탕류 편입니다. 모두 모두 집중 ~ 바로 탕류 중에 수세미오이재입니..

정력과 천식에 좋은 오미자술 민간요법

음식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②주류 정력강장, 천식, 거담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정력강장(精力强壯)이라는 것은 정력을 강화시킨다는 의미이고, 천식(喘息)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며, 거담(祛痰)은 폐의 점액질 분비를 촉진시켜서 가래가 묽어져서 잘 나오게 하는 것을 말함.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상시 먹을 수 있는 음식의 효능을 5개 분야(탕류, 주류, 차류, 이류, 분·엽류)로 분류하여 포스팅을 할께요. 5개 분야 중 두번째인 주류 편입니다. 모두 모두 집중 ~ 바로 주류 중에 오미자술입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