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뇨 58

독충 물린데, 폐병, 늑막염에 효과 좋은 노루발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독충에 물린데, 늑막염, 각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늑막염은 늑막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기침과 가래가 심해지며, 발열, 오한, 권태감 등이 생길 수 있는 것을 말하고, 각기는 비타민 비 원(B1)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영양실조 증상으로 말초 신경에 장애가 생겨 다리가 붓고 마비되며 전신 권태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노루발풀입니다. * 과명 : 노루발풀과 * 학명 : Pyrola japonica * 약명 : 녹제초(鹿蹄草) * 이명 : 녹함초, 분홍노루말풀, 파혈단, 노루발 출처 : 한국..

이뇨와 독충 물린데 효과 있는 나팔꽃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이뇨, 독충에 물린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을 말하고, 독충은 독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해를 입히는 곤충 또는 동물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나팔꽃입니다. *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 학명 : Pharbitis nil * 약명 : 견우자(牽牛子), 흑축(黑丑), 백축(白丑) * 이명 : 견우화, 조안화, 라발화. 조일화, 견우랑, 일엽견우, 흑백축, 나발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나팔꽃은 많은 분들이 아실만한 꽃이죠. 가을이면 우리 곁에 찾아오는 보라색 빛깔이 너무 예쁜 ..

월경불순과 임질에 좋은 꿀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임질, 월경불순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임질은 임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으로 성기의 점막에 감염되어 화농성 염증을 일으키는데 남성은 요도염 · 부고환염 · 전립샘염을, 여성은 요도염 · 질염 · 자궁내막염 · 난관샘염 · 복막염 등을 일으켜서 불임증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하고, 월경불순은 월경 주기나 출혈지속일수 및 출혈량 등이 정상월경의 범위를 넘어선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꿀풀입니다. * 과명 : 광대나물과 * 학명 : Prunella asiatica Nakai * 약명 : 하고초(夏枯草) * 이명 : 내동초, 철색초, 금창소초, 하고두, 양호초..

통풍과 체한 것을 내리는 꽈리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통풍, 돼지고기를 먹고 체한 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통풍은 관절 내 공간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말하고, 체는 먹은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 증상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꽈리입니다. * 과명 : 가지과(Solanaceae) * 학명 :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i * 약명 : 산장초(酸漿草), 산장근(酸漿根) * 이명 : 등룡초, 왕모주, 홍고랑, 홍랑자, 산장, 금등룡, 야호초, 수분자, 꼬아리, 괘금동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꽈리는 마을 근처에 저절로 자라거나 심어서 기르는 여러해살이 ..

월경불순과 구내염에 좋은 꼭두서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월경불순, 통경, 이뇨, 구내염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월경불순은 불규칙한 월경을 하는 증상을 말하고, 통경은 병적으로 월경을 못하는 것을 치료하여 월경을 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것을 말하고, 구내염은 입안에 발생하는 통증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꼭두서니입니다. * 과명 : 꼭두서니과(Rubiaceae) * 학명 : Rubia akane NAKAI * 약명 : 천초(茜草), 천초근(茜草根) * 이명 : 모괴, 과산룡, 점초, 우만, 팔선초, 홍등자, 여인홍, 홍천, 꼭두선 출처 : 한국의 산야초 ..

복통, 설사, 위에 좋은 깽깽이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복통, 설사, 건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복통은 복부(배)에 생긴 통증을 말하고, 설사는 변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상태로 배설되는 것을 말하며, 건위는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는 처방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깽깽이풀입니다. * 과명 : 매자나무과 * 학명 : Jeffersonia dubia * 약명 : 선황련(鮮黃連), 모황련(毛黃蓮), 상황련(常黃蓮), 조황련(朝黃蓮), 당황련(唐黃蓮) * 이명 : 황련, 토황련, 황련목, 천연, 양호이초, 중국황련, 당황련, , 천황련, 조선황련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깽깽이풀은 산중턱 아래의 습하고 반..

해열, 이뇨, 기관지염에 효과 좋은 까마중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해열, 이뇨, 기관지염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해열은 몸에 오른 열을 내리게 하는 효능을 말하고,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을 말하며, 기관지염은 폐의 기관지에 생기는 염증으로 가래, 기침, 호흡곤란, 가슴의 불편함 등의 증상이 나타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까마중입니다. * 과명 : 가지과 * 학명 : Solanum nigrum L. * 약명 : 용규(龍葵) * 이명 : 천가, 야해초, 고규, 용안초, 까마종이, 가마종이, 강태, 깜뚜라지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까마중은 전국에 널리 분포하며, 양지바른 풀밭이나 길가 등에 자란다고 하구요. 꽃이 필 ..

심한 불면증에 효과 좋은 골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심한 불면증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불면증은 다양한 이유로 밤에 잠을 들지 못하는 증세를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골풀입니다. * 과명 : 골풀과 * 학명 :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 약명 : 등심(燈心), 등심초(燈心草) * 이명 : 린초, 취관, 수총, 수등심, 약석초, 용수초, 벽옥초, 골속, 질속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골풀은 들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며, 줄기는 건조시킨 뒤 반으로 갈라 돗자리, 슬리퍼, 바구니, 모자, 방석 등의 재료로 사용되어지고, 일본에서 많이 재배하는데 다다미 판 위를 덮는 자리 재료로 쓰여진..

자양강장제로 효과가 뛰어난 고사리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자양강장, 해열, 이뇨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자양강장은 몸의 영양을 붙게 하여 영양불량이나 쇠약을 다스리고 특히 장의 기운을 돋우며 오장(심, 간, 폐, 비, 신)을 튼튼히 하게 하는 처방을 말하고, 해열은 몸의 오른 열을 내리게 하는 것을 말하며,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사리입니다. * 과명 : 고사리과(Pteridaceae) * 학명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약명 : 궐채(蕨菜) * 이명 : 길상채, 권두채, 궐분, 권채아, 궐근, 여의채, 용두채, 고사리나물 출..

요통, 수종, 부종에 좋은 고비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요통, 수종, 임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요통은 허리 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하고, 수종은 신체 조직안에 림프액 또는 장액 따위가 많이 괴어 있어 몸이 붓는 병을 말하며, 임질은 임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며, 남성은 요도염 · 부고환염 · 전립샘염을, 여성은 요도염 · 질염 · 자궁내막염 · 난관샘염 · 복막염 등을 일으켜서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비입니다. * 과명 : 고비과 * 학명 : Osmunda japonica * 약명 : 구자궐(球子蕨) * 이명 : 미궐, 미채, 구척, 자기, 고비나물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고비는 우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