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류머티즘 24

고혈압과 신경과민에 좋고 시력도 보호해주는 해바라기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땀띠를 예방하고 류머티즘, 신경통에 좋은 비파잎차

약이 되는 한방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옛날과 달리 먹을 것이 넘쳐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식재료가 풍부해서 반대급부로 성인병이라는 큰 고민이 생겨나서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운동을 하거나 식이요법을 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금처럼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았지만 자연에서 나는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오히려 현대인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았다고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민족의학연구소에서 발간한 책자 내용과 khh900 블로그님이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한방차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약이 되는 한방차 포스팅에서는 한방차 재료..

관절통과 류머티즘에 좋은 말뚝버섯 효능

식용 버섯 (나무에 있는 버섯)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버섯은 예로부터 신비스럽고 향과 맛이 독특하여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왔다고 합니다. 신(神)의 식품,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진 버섯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 알아볼까요? 알면 약(藥)이되고 모르면 독(毒)이되는 버섯 오늘은 말뚝버섯입니다. * 과명 : 말뚝버섯과 * 학명 : Phallus impudicus 출처 : 버섯대사전 말뚝버섯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숲속, 길가, 대나무 숲, 정원 등의 흙에 일부 묻혀 있거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몇 개씩 난다고 하구요. 갓의 크기는 어릴 때는 4~6cm 정도이고 알 모양이며 갓의 높이가 3~5cm 정도로 종 모양이고 꼭대기에 백색의 구멍이 뚫여 있다고 하며, 표면에는 고약한 냄새가 나는..

항산화, 목이버섯처럼 식용하는 털목이버섯 효능

건강에 유익한 버섯 (나무에서 자라는 버섯)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버섯은 예로부터 신비스럽고 향과 맛이 독특하여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왔다고 합니다. 신(神)의 식품,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진 버섯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 알아볼까요? 알면 약(藥)이되고 모르면 독(毒)이되는 버섯 오늘은 털목이버섯입니다. * 과명 : 목이과 * 학명 : Auricularia polytricha 출처 : 버섯대사전 털목이버섯은 전국의 산에서 흔하게 활엽수의 고사목에서 발견되지만 고추나무, 고광나무에서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고 하며, 초여름과 장마철 또는 가을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고 하구요. 각의 모양은 종 모양, 귀 모양, 공 모양, 잔 모양, 접시 모양, 깔때기의 모양으로 거..

구풍과 난산에 좋고 동맥경화와 혈액순환에도 도움을 주는 해바라기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구풍, 이뇨, 치통, 난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구풍이란 인체 내에 침입한 풍사(風邪)을 제거하는 효능을 말하고,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을 말하며, 난산은 분만 과정에 이상이 생겨 분만 시간이 길어 모체나 태아에 여러 가지 장애가 생기는 일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해바라기입니다. * 과명 : 국화과(Asteraceae) * 학명 : Helianthus annuus L. * 약명 : 향일규(向日葵) * 이명 : 규곽, 규화, 향일연, 조일화, 태일화, 전자연, 해가우리, 해지부리 출처 : 한국의 산야..

출혈이 심한 치질을 다스리고 불로장생의 신약으로 불리는 톱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불로장생, 출혈이 심한 치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치질이란 직장 하단, 항문, 항문 주위 조직에 생기는 병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톱풀입니다. * 과명 : 국화과 * 학명 : Achillea sibirica LEDEB. * 약명 : 시초(蓍草), 신초(神草) * 이명 : 우의초, 비천오송, 유연초, 거치초, 일지호, 가새풀, 산톱풀, 가새나물, 거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톱풀은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높이 110cm 정도 자라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여러 대가 모여 나오고 윗..

타박상이나 신경통 찜질 효과가 좋고 위와 장 운동에도 좋은 토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부인병, 신장병, 방광, 간장병 등의 찜질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부인병이란 부인의 생식기 질환 및 여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이상에 관한 병생을 말하고, 신장병은 신장에 생기는 병으로 배뇨이상, 소변성분 병화, 몸이 붓거나 고혈압 등의 증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간장병은 바이러스, 약물, 알코올, 면역·대사이상, 기생충이나 세균감염 등으로 인하여 간이 기능적, 형태적으로 이상을 발생한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토란입니다. * 과명 : 천남성과(Araceae) * 학명 : Colocasia antiquorum va..

설사병을 치료하고 모든 병의 출혈에 지혈제로 쓰이는 짚신나물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설사멎이, 지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지혈이란 나오던 피를 멈추게 하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짚신나물입니다. * 과명 : 장미과(Rosaceae) * 학명 : Agrimonia pilosa LEDEB. * 약명 : 용아초(龍牙草), 선학초(仙鶴草) * 이명 : 금선초, 지동풍, 자모초, 금선초, 황우미, 노우근, 백아고, 시선초, 노변초, 짚신풀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짚신나물은 우리나라 어디를 가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 풀꽃으로 일반적으로 30~50cm 정도 되는 것들이 많다고 하며, 잎은 깃털 모양으..

신경통과 류머티즘의 통증을 멎게 하는데 효과가 탁월한 쥐꼬리망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경통, 류머티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경통이란 일정한 신경의 경로를 따라 발작적으로 일어나는 심한 통증을 말하고, 류머티즘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근육이나 관절 또는 그 근접조직에 동통, 운동장애, 경결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쥐꼬리망초입니다. * 과명 :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 학명 : Justicia procumbens L. * 약명 : 진교(蓁艽) * 이명 : 작상, 진규, 진과, 녹규, 대압초, 호자초, 서미홍, 야만년청, 쥐꼬리망풀, 망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쥐꼬리..

피부병과 신경통을 다스리고 버섯의 중독을 해소시키는 자작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경통, 종기, 버섯 중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경통이란 신경을 담당하는 영역을 따라 나타나는 통증으로, 통증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이 자극을 받아 생기는 것을 말하고, 종기는 모낭에 염증이 생겨 노란 고름이 잡히면 모낭염(folliculitis)이라고 하는데, 모낭염이 심해지고 커져서 결절이 생긴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자작나무입니다. *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 학명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약명 : 백화(白樺) * 이명 : 백화수, 화수, 화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