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효능과 민간요법/약초 효능과 민간요법

신장병에 놀라운 효과가 있고 당뇨병에도 좋은 벼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사랑꾼 2021. 7. 9. 04:24
728x90
반응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벼>

신장병, 당뇨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이란 신장(腎臟)에 생기는 병을 뜻하는데 신장의 기능 이상으로 온 제반의 질병을 말하고,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입니다.

 

 


* 과명 : 벼과, Gramineae

* 학명 : Oryza sativa

* 약명 : 도(稻)

* 이명 : 수도, 조도, 나락, 밭벼, 논벼, 베, 도초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벼는 한국인이라면 늘 밥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쌀밥을 만들어내는 것으로서 논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로 잎은 가늘고 길며 앞면과 잎 가장자리가 꺼끌 거리고 뒷면은 윤이 나며 성숙하면 줄기 끝에 이삭이 나와 7~9월 경 꽃이 핀 후 9~10월에 긴타원형의 영과로 열매를 맺으며 벼의 열매를 찧은 것을 쌀이라고 하구요.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가 쌀을 주식량으로 식용하며, 볏짚은 가축 먹이로 이용한다고 하네요.

 

 

벼 꽃말은 풍요를 뜻한다고 합니다.

 

벼 이름에 대한 유래를 살펴볼까요?

 

첫번째로는

벼 학명의 "Oryza"는 "동양에 기원을 둔다"는 뜻의 그리스어로서 이집트어 "arus(벼)"에서 유래한 " Oruza"가 어원이라고 하구요.

"sativa"는 종명으로 "재배(순화)"라는 뜻의 라틴어로 학명에 따르면 벼는 "문명의 시작인 동양에서 기원하여 재배하는 식물"이라는 의미라고 하네요.

 

두번째로는

우리말 "벼"는 인도어로 "브리히"를, "쌀"은 "사리"를 어원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쌀은 "씨알"에서 유래된 말로 모든 곡식을 일컫는 대표적인 곡물이라고 합니다.

 

세번째로는 벼의 유래에 대한 다양한 견해입니다

 

① 인도에서는 벼를 bras, beras라고 하고 그와 유사한 드라비다어로는 vari, per라고 하므로 벼의 전래와 함께 유입되어 형성되었다는 설

② 가을에 익는 벼의 인도 말인 브리히(Vrihi)가 여진족 말로 백미(白米)를 뜻하는 베레로 변하였다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벼로 정착되었다는 설

③ 자포니카 벼의 기원지로 추정되는 태국, 미얀마, 베트남 등에서 유래한 말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badi로 변형되고 우리말 벼가 되었다는 설

④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두 원산지로 추정되는 곳의 명칭이 전래되면서 우리말의 벼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공통적이다.

 

한편, 15세기 중반의 《훈민정음해례본》에 한자어 稻(도)와 함께 벼가 쓰인 것을 보면 상당히 오래전부터 변화 없이 쓰인 명칭으로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추천명이자 표준말이라고 하구요.

북한에서도 벼라고 부르며, 지방에 따라 나락, 나룩, 베 등으로 불린다고 합니다.

출처 : (춘천사람들)시민과동행하는신문

 

 

 

 

 

 

벼의 효능으로는

 

벼에서 생산된 쌀은 식이섬유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한데, 식이섬유란 인간의 소화효소로 가수분해되지 않는 탄수화물로서 인체내에서 여러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에너지를 거의 내지 않고 만복감을 주는 동시에 음식물의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켜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장내의 콜레스테롤이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이 상승됨을 억제하여 동맥경화증과 허혈성 심질환을 예방한다고 하구요.

 

펙틴 등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식사후의 혈당량이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여 인슐린 분비를 절약시키므로 당뇨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좋다고 하네요.

 

또한 불용성 식이섬유는 대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음식물의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켜서 변비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으며, 식이성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배설시키거나 유해물질의 체내흡수를 억제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출처 : 농업기술센터)

 

 

 

「중의묘방(中醫妙方)에 쓰여진 민간요법

당뇨병에는 볏집 속을 태워 그 재를 그릇에 담고 물을 많이 부어 두면 처음에는 흐린 물이지만 차차 맑아지며 그 맑은 물을 한 컵씩 목이 마를 때 차처럼 마시면 큰 효과를 본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요법

식용, 공업용에 쓰이며 민간요법에는 묘를 사용하기도 한다.

민간요법에는 6월경 벼의 묘가 12~15cm 정도 자랐을 때에 그늘에서 말려 이것 한 줌을 5홉의 물로 달여서 차를 끓일 때와 같이 하여 즙액이 우러나오면 차 대용으로 조금씩 복용한다.

이 방법은 신장병에 놀라운 효과가 있으며 심장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