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약초) 포제법
⑨ 동물류(動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모려입니다.
모려는 조개과에 속한 연체동물인 굴, 대련만모려 또는 근ㄱㅇ모려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으로 일년 내내 채취하여 육질을 제거한 다음 깨끗이 씻어서 헷볕에 말리는데, 약재는 질이 견고하고 내면이 깨끗하며 흰색인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모려>
ⓛ 원약재의 잡질과 붙어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던조하고 빻아서 부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하모려>
ⓛ 깨끗한 모려를 취하여 적당한 용기 내에 넣고 강한 불로 가열하여 잘 부사질 때까지 태운 다음 꺼내어 식히고 빻아서 부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염모려>
ⓛ 모려를 소금물로 완전히 끓인 다음 화하(火煆)하여 분말을 만들거나 혹은 하모려를 분쇄한 다음 소금물에 잘 섞어서 건조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주모려>
ⓛ 모려를 취하여 주자법으로 포제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모려>
① 불규적인 부서진 덩어리로 표명느 옅은 자종색, 회백색, 황색 혹은 황갈색이며 내면은 뱆자와 같은 흰색이다. 질은 단단하고 단면은 층 모양 혹은 층 무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깨끗하고 희다. 냄새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② 생품은 짜고 차며 질이 무거워 뭉친 것을 풀고 단단한 것을 부드럽게하므로 전신을 진정시키며 양기를 가라앉혀 음을 보하고 어혈이나 담탁을 풀어주는 효능을 목적으로 대부분 생용한다. 따하서 현훈(어지럼증), 이명(귀울림), 경계실면(잠을 이루지 못하는 병증), 나력담핵(나력으로 인하여 피하에 담으로 멍울이 생기는 병증), 징가비괴(인체 내부에서 덩어리가 발생하는 병증과 음식, 어혈 등으로 인해 적이 생겨 명치끝에 덩어리가 생겨서 그득한 것을 말함) 등을 치료할 때 많이 활용한다.
<하모려>
① 형태는 모려의 부서진 덩어리와 비슷하며 청회색이고 질이 성기며 잘 부스러진다.
② 하한 후에는 조금 떫어지고 아울러 분쇄하기가 쉬워져서 거두어들이고 새어나가는 것을 막으며 제산 및 지통의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수삽제에는 하모려를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따라서 자한, 도한, 유정, 붕루, 대하, 위장통증 및 구토탄산 등의 병증을 치료할 때 많이 활용한다.
<염모려>
① 형태는 모려의 부서진 덩어리와 비슷하며 짠맛이 있다.
② 식염은 짜고 차며 아울러 담탁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모려를 염자한 후에는 그 연견산결(탁담(濁痰), 어혈(瘀血) 등으로 인해 응어리가 형성된 것을 풀어주는 방법) 하는 효능이 더욱 증강되고 분쇄하기가 쉬우며 제제하기도 편리해진다. 따라서 담탁이나 뭉친 어혈에는 염자한 모려를 사용하면 치료효과가 증강된다.
<주모려>
① 형태는 모려의 부서진 덩어리와 비슷하며 술 냄새가 난다.
② 술은 맵고 달며 대열해서 혈맥을 통하게 한다. 모려를 화하하여 주쉬(酒淬)하면 분쇄하기가 쉽고 아울러 찬 성질을 완화시키며, 새어나가는 것을 막고 냉(대하)를 멎게 하는 효능이 우수해진다.
'약재효능과 민간요법 > 한약재 포제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독 및 뭉침을 풀어주고 중풍성 신경마비에 좋은 백강잠 약재 포제법 (2) | 2023.10.22 |
---|---|
임파절 멍울, 사마귀, 종기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반묘 약재 포제법 (0) | 2023.10.21 |
발기부전, 몸이 여위거나 어지럼증, 난청, 붕루대하 증상에 좋은 녹용 약재 포제법 (2) | 2023.10.19 |
자궁출혈을 멎게하고 음위와 조루에 좋은 귀판 약재 포제법 (0) | 2023.10.18 |
음식을 소화시키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계내금 약재 포제법 (2)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