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좁쌀 3

위장을 좋게 하고 구토와 설사를 멎게하며 땀띠에도 좋은 조(좁쌀)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위장 보양, 구토, 땀띠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위장 보양이란 위장(위)의 기능을 좋게 하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조입니다. * 과명 : 벼과(Gramineae) * 학명 : Setaria italica (L.) BEAUV. * 약명 : 속미(粟米) * 이명 : 양속, 곡자, 소미, 화자, 황량, 좁쌀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조의 원산지는 중동지역으로 우리나라는 신석기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삼국시대 문헌에 기록된 내용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하고, 고려시대에도 오곡 중 조를 가장 많이 재배되었다는..

대머리의 명약 조겨기름 효능과 민간요법

음식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①탕류 피부병과 탈모(대머리)에 효과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상시 먹을 수 있는 음식의 효능을 5개 분야(탕류, 주류, 차류, 이류, 분·엽류)로 분류하여 포스팅을 할께요. 5개 분야 중 첫번째인 탕류 편입니다. 모두 모두 집중 ~ 바로 탕류 중에 조겨기름입니다. 자~ 그럼 제주도로 가보실까요? 조체지름이라고 들어봅데강? - "조겨기름이라고 들어본적 있나요?" 의 제주도 사투리 - * 속명(俗名) : 조체지름 * 한명(漢名) : 粟糠油(속강유) * 별명(別名) : 秈粟糠油(선속강유) * 효능(効能) : 殺蟲(살충), 生毛(생모)​​ 출처 : 제주도민..

허리가 삐거나 움직일 때 아픈 요부염좌 치료 민간요법

증상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②외과편 수세미뿌리, 찹쌀, 좁쌀, 밤껍질, 백개자기름 사용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9개 분야로 분류하여 포스팅할께요. 모두 모두 집중 ~ 바로 외과편 내용 중 요부염좌입니다. * 요부염좌(腰部捻挫) 출처 : 건강과 민간요법(1980, 진태준) 요부염좌란 허리가 삐어 몹시 아프고 몸을 움직이는데 불편을 느끼게 되는 일종의 허리병을 말한다. 제주도방언으로는 "허리고목갔다"라고 말한다. 이는 허리를 삐었다는 말이다. 이 병의 원인은 대개 허리에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어떠한 무거운 물건을 들었다든가 혹은 누구한테서 구타를 당하였다든..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