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익모초 4

월경을 조화롭게 하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익모초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③ 전초류(全草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

생리불순과 불임개선 등 부인병을 다스리는 여성을 위한 익모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부인병의 묘약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부인병이란 부인의 생식기 질환 및 여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이상에 관한 병을 뜻하는데, 대체로 산병(産病)과 합쳐서 산부인병이라고 하지만, 임신·분만을 제외한 부인에 관한 병만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익모초입니다. * 과명 : 꿀풀과 * 학명 : Leonurus sibiricus L. * 약명 : 익모초(益母草), 충위자(茺蔚子) * 이명 : 충위, 야천마, 곤초, 사릉초, 충초, 홍화해, 익모고, 야마, 익모채, 야고초, 암눈비앗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익모초는 햇볕이 잘 들어오는 ..

여성건강 책임지는 익모초엿 효능과 민간요법

음식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④이류 통경, 산전-산후요약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통경(痛經)이라는 것은 월경 중에 또는 월경 전후에 아랫배나 허리가 아픈 병증을 말하고, 산전-산후요약(産前-産後要藥)은 출산전 후에 좋은 효과를 내는 중요한 약이라는 것을 말함.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상시 먹을 수 있는 음식의 효능을 5개 분야(탕류, 주류, 차류, 이류, 분·엽류)로 분류하여 포스팅을 할께요. 5개 분야 중 네번째인 이류 편입니다. 모두 모두 집중 ~ 바로 이류 중에 익모초엿입니다. 자~ 그럼 제주도로 가보실까요? 여성에게 하영 좋덴허는 약재가 무신건지 알암수가?..

알면 도움되는 생리(월경)불순 민간요법

증상으로 보는 제주도민간요법 : ④산부인과편 익모초, 홍화, 당귀, 향부자 사용 * 월경불순(月經不順) 출처 : 건강과 민간요법(1980, 진태준) 안녕하세요? 건강 지식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있는 자연 사랑꾼입니다. 옛날에는 몸이 아플 때 어떻게 했을까?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민간요법, 특히 제주도에서 전해져 오는 오래된 민간요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9개 분야로 분류하여 포스팅할께요. 모두 모두 집중 ~ 이번에 소개할 민간요법은? 바로 산부인과편 내용 중 생리(월경)불순입니다. 생리불순? 월경불순? 여성건강의 적신호? 생리불순 즉 월경불순은 간단히 설명하면 불규칙한 생리를 가리키는 말로서 의학적으로 정확히 대응되는 용어는 없다고 하고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