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종 14

열을 내리고 부종을 가라 앉히며 위와 폐를 좋게 하는 향유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해열, 수종, 위암, 폐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수종이란 세포간 조직내나 체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대량의 조직액이 저류되는 병변을 뜻하는데, 혈액 중의 수분이 대량으로 조직내에 이동했을 때, 혈관 및 림프관 내를 흐르는 조직액의 관류(灌流)가 장애될 때, 조직의 수분 흡착력이 증가했을 때 일어나는 것을 말하고, 폐기는 폐의 기능과 활동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향유입니다. * 과명 : 광대나물과 * 학명 : Elsholtzia ciliata(THUNB) HYLANDER * 약명 : 향유(香薷) * 이명 : 향여, ..

각기병의 묘약이면서 부종과 수종으로 몸이 붓는 것을 다스리는 팥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각기, 부종, 수종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각기란 비타민B1의 결핍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환이며,먼저 다리가 나무처럼 뻣뻣하고 시큰거리며 무르고 약하여 힘이 없고 땅기거나 붓거나 마르거나 열이 나는 것을 말하고, 부종은 체액이 신체 조직의 간질에 축적되어 피부가 부어오르는 현상을 말하며, 수종은 몸 안에 수습(水濕)이 고여 얼굴과 눈, 팔다리, 가슴과 배, 심지어 온몸이 붓는 질환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팥입니다. * 과명 : 콩과(Leguminosae) * 학명 : Phaseolus angularis​ * 약명 ..

대하증과 농혈을 다스리고 종기의 고름을 뽑아내는 접시꽃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배농, 적백 대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배농이란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하고, 적백 대하는 음도(陰道)에서 붉은색과 흰색이 섞인 점액이 계속 흘러나오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접시꽃입니다. * 과명 : 아욱과 * 학명 : Althaea rosea CAV. * 약명 : 촉규화(蜀葵花) * 이명 : 덕두화, 서국화, 촉계화, 설기화, 일장홍, 숙계화, 대촉규, 단오금, 오규, 장홍, 접중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접시꽃은 무궁화를 닮은 크고 납작한 꽃으로 어디서나 쉽게 잘 자라며, 전국 각처의 마을 어귀..

수종과 적백대하를 다스리고 몸의 열을 내리게 하는 자두나무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해열, 수종, 적백 대하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해열이란 몸에 오른 열을 풀어 내리는 것을 말하고, 수종은 세포간 조직내나 체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대량의 조직액이 저류되는 병변. 수종은 혈액 중의 수분이 대량으로 조직내에 이동했을 때, 혈관 및 림프관 내를 흐르는 조직액의 관류(灌流)가 장애될 때, 조직의 수분 흡착력이 증가했을 때 일어나는데, 수종이 일어나면 조직은 팽창하고 주름은 퍼져 팽팽해지며, 창백·빈혈 상태가 되고 체온도 내려가고 탄력성도 약화되므로 손가락으로 누르면 쑥 들어간 채 복원하는 속도가 더딘 증상을 말하며, 적백대하는 성숙한 여자의 생식기로부터 병적으로 빛이 벌건 피 같은 분비물이 흐르는 데 거기에 흰 이슬이 섞여 나오는 증상을 말함. ..

산후의 모든 병과 눈병을 다스리는 마타리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대하증, 산후혈행, 지혈제, 유행성 눈병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대하증이란 여성의 질에서 흰색이나 누런색 또는 붉은색의 점액성 물질이 흘러나오는 병을 말하고, 산후혈행은 출산후 혈액이 혈관을 통해서 신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혈제는 출혈을 멈추게 하는 데 쓰이는 약을 말하고, 유행성 눈병은 감염된 사람의 눈 분비물 또는 오염된 물건 등과의 직, 간접적인 접촉으로 감염도;는 것을 말함. 안녕하세요? 자연사랑꾼입니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마타리입니다. * 과명 : 마타리과(Adoxaceae) * 학명 : Patrinia scabiosifoli..

신장병, 폐병, 수종에 효과 좋은 당근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장병, 폐병, 수종, 정력 증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이란 신장(콩팥)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을 말하고, 폐병은 기침이 나고 가래가 많으며 숨이 차고 가슴이 아프며 혹은 오한 발열이 있고 코가 메거나 콧물을 흘리며 객혈이 있고 목이 쉬며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는 폐질환을 말하며, 수종은 복부와 가슴 부분의 장기를 덮고 있는 막인 복막 내에 지속적으로 체액 저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당근입니다. *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 학명 : Daucus carota subsp. sativa * 약명 : 호라복(..

이뇨와 독충 물린데 효과 있는 나팔꽃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이뇨, 독충에 물린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이뇨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을 말하고, 독충은 독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해를 입히는 곤충 또는 동물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나팔꽃입니다. *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 학명 : Pharbitis nil * 약명 : 견우자(牽牛子), 흑축(黑丑), 백축(白丑) * 이명 : 견우화, 조안화, 라발화. 조일화, 견우랑, 일엽견우, 흑백축, 나발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나팔꽃은 많은 분들이 아실만한 꽃이죠. 가을이면 우리 곁에 찾아오는 보라색 빛깔이 너무 예쁜 ..

요통, 수종, 부종에 좋은 고비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요통, 수종, 임질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요통은 허리 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말하고, 수종은 신체 조직안에 림프액 또는 장액 따위가 많이 괴어 있어 몸이 붓는 병을 말하며, 임질은 임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며, 남성은 요도염 · 부고환염 · 전립샘염을, 여성은 요도염 · 질염 · 자궁내막염 · 난관샘염 · 복막염 등을 일으켜서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고비입니다. * 과명 : 고비과 * 학명 : Osmunda japonica * 약명 : 구자궐(球子蕨) * 이명 : 미궐, 미채, 구척, 자기, 고비나물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고비는 우리..

신장병과 악성종기에 특효가 있는 개오동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신장병, 악성 종기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신장병은 신장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되는 질병을 말하고, 악성종기는 고치기 어렵거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한 종기를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개오동입니다. * 과명 : 능소화과(Bignoniaceae) * 학명 : Catalpa ovata * 약명 : 자백피(梓白皮), 목각두(木角豆), 노관취(老鸛嘴) * 이명 : 목왕, 가오동, 취오동, 자목, 노나무, 향오동, 자수, 화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개오동은 예로부터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라 하여 신성시 했으며, 이 나무가 집안에 있으면 천둥이 심해도 다른 재목이 ..

위에 좋고 가래 없애는 금불초 효능과 민간요법

자연인이 알아야 하는 약초 거담, 복수, 건위에 효과 오늘의 한방 용어 같이 알아 볼까요? 거담(祛痰)은 가래를 없애는 처방을 말하고, 복수(腹水)는 혈액 속 액체 성분이 나와서 복강 안에 고인 것을 말하며, 건위(建胃)는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기능을 높이는 처방을 말함. 옛날부터 선조들이 사용해왔던 약초(약용식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여러분과 같이 하나하나 알아 볼께요.. 오늘의 약초는 금불초입니다. * 과명 : 국화과 * 학명 :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 약명 : 선복화(旋覆花) * 이명 : 하국, 어월국, 금전국, 금잔화, 들국화 출처 : 한국의 산야초 가을이 되면 감국이나 구절초 같은 들국화가 생각이 나는데 여름되면 어떤 꽃이 떠오를까? 여름 국화로 알려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