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 천식 및 가래에 피가 섞여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합개 약재 포제법
한약재(약초) 포제법
⑨ 동물류(動物類) 약재의 포제

안녕하세요?
건강전도사 자연사랑꾼입니다.
예로부터 인류는 생존을 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찾아 먹는 과정에서 독이 있는 동·식물을 먹어 중독증상이 발생하는 가 하면 우연히 병이 호전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약물의 효능을 알게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점차 어떤것이 인체에 유익하고 피해가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고 또한 어떤 약물을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각물 혹은 약물을 먹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포제라고 합니다.
포제는 역사적으로 배합, 합약, 제약, 치제, 포자, 수사, 수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지금은 수치, 법제, 포자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약초도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약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합니다.
약초에 대한 각종 포제방법 및 작용, 주치효능, 구체적 임상응용 등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약초 및 한약재 법제임상대전>이라는 책자에 기술된 포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할 약재(약초)는 합개입니다.
합개는 도마뱀붙이과에 속한 동물인 합개의 내장을 제거한 몸체를 건조시킨 것으로 사계절 모두 채취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닦은 다음 대나무 조각으로 벌려서 전체를 편평\하게 곧게 만들어 저온에서 건조시키는데, 약재는 몸체가 크고 꼬리가 온전하며 부서지지 않은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약재(약초) 포제방법>

<합개>
ⓛ 원약재의 비늘 및 머리, 발 등을 제거하고 작은 덩어리(괴)로 자른 다음 나무상자에 넣고 산초 열ㄹ매와 섞어 포장을 잘 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유수합개>
ⓛ 깨끗한 합개를 솥 안에 넣은 다음 참기름을 넣고 볶아 말린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주합개>
ⓛ 깨끗한 합개 괴를 술에 담가 흡수시킨 후 말려서 사용한다.
②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합개 10kg당 황주 2kg을 사용한다.
<초합개>
ⓛ 깨끗한 합개를 취하여 초자법으로 포제한다.
<밀합개>
ⓛ 깨끗한 합개를 취하여 밀자법으로 포제한다.
<포제 약재(약초) 특징>
<합개>
① 불규칙적인 조각 모양의 작은 덩어이로서 표면은 회흑색 혹은 은회색이며 황갈색 혹은 회종색의 반점이 있고 비늘이 탈락한 흔적이 있다. 자른 단면은 황백색 혹은 회백색이며 척추뼈 및 늑골이 튀어 나온 것이 선명하고 조금 비린내가 있으며 맛은 조금 짜다.
② 생품은 짜고 평범하고 따뜻함에 치우치며, 폐 신장을 보하고 천식을 다스리는 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폐 신장의 허약으로 인한 천식을 치료하는 요약이 된다. 임상에서는 기관지염. 효천(가래가 끓는 숨찬 기침), 심장성 천식, 폐기종, 폐결핵의 기침 천식을 일으키는 담혈이 폐 신장의 허함으로 인한 경우에 활용한다. 주로 환제, 산제 혹은 주제에 넣어 응용한다.
<유수합개>
① 형태는 합개 괴와 비슷하며 참기름 냄새가 난다.
② 합개를 참기름으로 볶아서 사용하면 기침과 객혈을 멎게 하기 때문에 폐 신장 허약으로 인한 기침 천식 및 가래에 피가 섞여 있는 경우 혹은 객혈에 많이 할용한다.
<주합개>
① 형태는 합개 괴와 비슷하며 조금 술 냄새가 나고 맛은 조금 짜다.
② 주자한 후에는 비린내를 제거하고 분쇄하기 쉬워지면, 신장을 보하는 힘이 강해지므로 신양부족으로 인한 양위(발기부전) 및 유정, 소변 잦음(소변빈삭)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초합개>
① 형태는 합개 괴와 비슷하며 식초 냄새가 난다.
② 초자한 후에는 폐를 보하는 효능이 우수해지므로 ㅠㅖ 신장 허약으로 인한 해수허천, 호흡이 짧고 힘이 부친 증상에 많이 활용한다.
<밀합개>
① 형태는 합개 괴와 비슷하며 단내내가 난다.
② 밀자한 후에는 폐를 보하는 힘이 증강되므로 해수허천에 많이 활용한다.